이 소식이 다루는 위치를 최우선으로 뇌리에 심어야 한다.
Минусинска котловина · Minusinsk, Krasnoyarsk Krai, Russia, 662603
★★★★☆ · Land mass
www.google.com
2022년 2월 20일 이스라엘 유력 일간지 하레츠Haaretz에 실린 하카스Khakassia 지역 키르기스 스키타이인들Kyrgyz Scythians의 타슈티크 문화Tashtyk culture에 대한 소개다.
존속 시점, 그리고 지리로 볼 적에 중국 문화 영향도 적지 않을까 보는데, 혹 모르겠다.
차순철 선생이 어딘가에서 이를 접하고 걸었으므로, 내용 역시 살피니 흥미로워 자세히 정리해 보기로 한다.
시베리아의 신비로운 고대 문화가 전하는 메시지
타슈티크족Tashtyks의 장례 관습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제 고고학도들이 기원후 1천년기 초 그들의 삶에서 발견된 희귀한 흔적들을 발견했으니 개중에는 독특한 조각을 새긴 석판도 있다.
아스키즈Askiz 강 오른쪽 언덕에서 서기 1천년기 초반기(대략 서력기원 전후에서 서기 500년 사이를 말한다) 독특한 고고학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고대 시베리아의 수수께끼 같은 타슈티크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의 죽음 방식뿐만 아니라 그들이 누구였는지도 밝혀준다.
타슈티크족의 특이한 장례 풍습은 이미 수많은 기사와 연구에서 언급되었지만, 악의 날 evil day[뭐지?] 이전에 그들이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제 카자노프카Kazanovka 14라고 일컫는 새로운 유적에서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문화, 환경에 대한 적응, 그리고 남부 시베리아의 이 "오아시스"에서 그들이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얻었다.
아스키즈 강은 아바칸Abakan 강 지류다. 이 지역은 2021년 현장 조사 기간 중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유적이 발견된 남부 시베리아 하카스Khakassia 공화국의 따뜻한 미누신스크 분지 Minusinsk Basin를 통과한다.
미누신스크 분지는 산과 숲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풍부한 호수와 비옥한 토지, 그리고 시베리아에서 가장 온화한 기후를 자랑한다. 마치 초원의 오아시스 같다.
겨울바람이 산 눈을 날려 보내 양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미누신스크 분지가 역사 전반에 걸쳐 반유목 민족과 그들의 가축 떼를 끌어들인 것은 당연하다.
고고학자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기원전 3천 년기 이후 다양한 문화의 유적을 발굴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메즈두레첸스크-타이셰트 철도 Mezhdurechensk–Tayshet railroad 건설 공사를 진행하는 동안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중세 후기까지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에는 다양한 문화와 정착지의 매장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카자노프카 14"라고 불리는 유적은 2021년에 발굴되었다.
티모셴코 알렉세이 Timoshenko Alexey 지휘 아래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국립 고고학민족지학연구소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SB RAS Novosibirsk, Russia 안톤 비보르노프Anton Vybornov가 수행했다.
이곳에서 조사자들은 불타버린 목조 구조물 잔해와 놀라운 암각화(사암 판)를 발견하여 타슈티크족의 삶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발견했다.
이들의 발견은 "시베리아 및 인접 지역의 고고학, 민족지학, 인류학 문제 Problems of Archaeology, Ethnography, Anthropology of Siberia and Neighboring Territories" 저널에 보고되었다.
8,200년 전 러시아 수렵 채집인들이 기후 충격에 어떻게 대처했는가
타슈티크 문화는 약 2,000년 전부터 약 1,600년 전까지 남부 시베리아 하카스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
하지만 비보르노프는 이 문화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한다.
어떤 면에서는 스키타이 전통을 일부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면에서는 훈족-사르마트족 문화Hunnic – Sarmatian types of cultures가 분지에 알려진 지역 전통과 혼합되어 나타난다.
타슈티크 문화는 또한 남부 시베리아의 지역적 현상으로 여겨지며, 이를 바탕으로 중세 후기 예니세이 키르기스스탄 국가 medieval Yenisei Kirgizian state가 탄생했다.
확실한 것은 그들의 독특하고 다채로운 매장 관습이다.
타슈티크의 장례 관습에는 화장cremation이나 매장inhumation이 포함된다.
유해는 땅에 파고 나무로 안감을 댄 상자형 무덤이나 거대한 지하 무덤에 매장되었다.
재와 화장한 뼈를 가죽 자루에 넣고 마른 풀을 채웠다.
가죽으로 장식한 인형 안에 자루를 넣고 얼굴 부위에 가면을 씌웠다.
매장 역시 흔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고인은 가죽옷을 입었다.
머리에는 수의나 어떤 경우든 천 티슈를 두르고, 그 위에 가면을 씌웠다.
가면은 이러한 매장에서 가장 특이한 특징이었다.
점토와 석고로 만든 고인의 초상화에 붉은 물감으로 장식했다.
이마에는 나선형 무늬를 그렸고, 뺨과 턱에도 물감을 붉게 칠했다.
인형이나 시신이 준비되면 도자기와 금속 용기를 포함한 부장품들과 함께 상자형 무덤이나 납골당에 안치했다.
납골당은 규모가 컸고, 안으로 이어지는 복도가 있었다.
장례 절차가 끝나면 납골당은 봉인되고 불태운 후 덮고서 분지(Basin)를 바라보는 곳에 영원히 서 있게 되었다.
타슈티크족 매장지와 풍습에서 드러나듯이 그들의 죽음 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들의 삶의 방식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
타슈티크족 정착지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카자노프카 14는 중요하다.
지표면 바로 아래, 현대 퇴적층보다 3~20cm 깊이에서 고고학자들은 이 반유목민들이 계절에 따라 야영한 것으로 보이는 곳을 발굴했다.
이들은 겨울에서 여름 야영지로 이동하며 이 비옥한 땅에서 수년간 농사를 지었다.
야영지 남쪽에서는 나무 막대기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하여 지은 구조물이 붕괴해서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탄화한 파괴층이 발견되었다.
발굴자들은 또한 구조물 근처에서 벽과 천장을 지탱한 나무 기둥의 위치를 알려주는 구멍들을 발견했다.
화로도 있었고, 도자기 그릇, 뼈와 금속 물체, 동물 유해와 함께 탄 점토가 여러 군데 쌓여 있었다.
이를 통해 안톤은 이 구조물이 도예가 작업장이었을 가능성을 추측하게 되었는데, 연구가 아직 기초 단계이고 추가 분석이 필요하지만 고려해 볼 만한 가능성이 있다.
또는 이 구조물은 단순한 집이나 오두막, 심지어 유르트yurt[게르]였을 가능성도 있다.
화재로 나무 구조물과 그 내부가 모두 소실되어 그 장소가 영구히 봉쇄된 후, 2021년 원정대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카자노프카 14는 타슈티크족의 삶의 방식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예술 세계와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창을 열어준다.
화재로 집이 전소되었을지 모르지만, 타슈티크족의 예술적 정신은 그들이 사망한 후에도 오랫동안 불길 속에서도 살아남았다.
고고학자들은 재와 잔해 속에서 동물의 발목뼈인 황기黃起 astragalus bones[뭐지?]를 발견했는데, 이 뼈에는 십자가, 원, 선 등의 흔적이 새겨 있었다.
이러한 흔적들은 다른 유적에서도 흔히 볼 수 있으며, 게임 말(game horses)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번 시즌 가장 흥미로운 발견은 사암 석판sandstone slab이었다.
사암에 새긴 그림은 세 개 패널로 나뉜다.
아래쪽 패널에는 나무를 양식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위쪽 패널에는 세 개 수평선과 그 사이에 더 작은 줄무늬가 있다.
가운데 패널은 위쪽 패널과 유사하게 양쪽에 세 개 수직선이 그어져 있고 그 사이에 줄무늬가 있다.
패널 중앙은 이상하게 비어 있고, 측면에 몇 가지 요소가 있고 가운데에 반원이 있다.
신비로운 분위기임에도 비보르노프와 그의 팀은 이 발견에 매우 흥분했다.
이 발견은 수수께끼 같은 사람들이 자신과 세상에 남긴 속삭임이자, 과거로부터 온 의도치 않은 메시지였다.
카자노프카 14에서 발견된 이 발견물과 불에 탄 구조물, 그리고 석판에 새긴 암각화를 알게 되면서, 과연 이 암각화가 바로 그 구조물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보르노프는 이에 대해 질문을 받자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지만, 현재로서는 순전히 추측일 뿐이라고 답했다.
타슈티키인들이 실제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가 무엇인지는 앞으로 더 많은 자료에 대한 연구와 분석, 그리고 과거 및 새로운 발견물과의 연관성을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요석 유통망으로 해부하는 아즈텍 제국 (1) | 2025.05.14 |
---|---|
만년 전, 그들은 스코틀랜드 북부를 향해 여정을 떠났다 (0) | 2025.05.14 |
다 엎어버리는 DNA, 북아프리카도 헤집다 (1) | 2025.05.13 |
이름만 희미한 작은 나라 거국莒國, 발굴을 통해 모습을 드러내다 (1) | 2025.05.13 |
HIV 저항 유전자 돌연변이는 9천년 전 흑해서 발생 (2) | 2025.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