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순다랜드, 만년전만 해도 수마트라 자바 보루네오는 육지였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5. 17.
반응형

https://atlantisjavasea.com/wp-content/uploads/2015/09/sundaland-in-the-last-glacial-period.gif


이는 시기별 순다랜드Sundaland 변화 양상이라, 아주 정확히 이리 변해갔다 할 수는 없겠지만 대체로 저리 변해갔다 생각하면 될 성 싶다. 

저 순다랜드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초기 인류사를 이야기할 적에 모름지기 맞닥뜨리는 존재라 이참에 순다랜드가 무엇인지 정리할 필요가 있을 성 싶다. 
 

 
순다랜드는 순다이카Sundaica 또는 순다익 지역Sundaic region이라고도 하며, 동남아시아의 생물지리학적 지역을 일컫는 개념이다.

지난 260만 년 동안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에 노출된 더 넓은 육지를 지칭한다.

지금의 인도네시아의 발리섬, 보르네오섬, 자바섬, 수마트라섬과 그 주변의 작은 섬들, 그리고 동남아시아 본토 말레이 반도가 육지로 연결된 상태다.

약 200만 년이 흐른 지금 본래의 순다랜드는 절반가량 축소된 땅 크기다.

저 순다랜드는 약 1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 마지막 빙하기까지만 해도 앞 첨부한 지도와 같은 지형이었다. 

지금보다 해수면은 30~40미터 이상 낮았다.

그러니 보르네오, 자바, 수마트라 섬은 말레이 반도와 아시아 본토와 육교로 연결되었던 것이다.

그런 순다랜드도 대략 1만 8천 년 전부터 부분적 침수가 시작되어 기원전 5천 년 무렵에는 지금 우리가 보는 지형이 완성되었다.
 

100m 등심선isobath (실선)과 50m 등심선(점선)을 기준으로 고대 하천 체계paleo-river systems를 보여주는 순달란드와 인접 섬들 지도.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에는 이러한 대규모 하천 체계가 중요한 동물지리학적 장벽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 빙하기 극성기와 비교할 때 해수면은 약 120m 정도 차이가 진다 한다.

저런 빙하 극성기가 다시 온다 할 때 다른 변수가 없다면 저 순다랜드가 다시 출현한다는 뜻이 되겠다.

그때까지 우리 후손들이 살아 있다면 자동차 타고 인도차이나 반도 출발해 보루네오 섬도 가고 심지어 필리핀까지도 그냥 쒸웅 달릴 날이 있을지도 모른다. 

간단히 말해 대략 1만년 전-솔까 지금 기준으로 얼마 멀지도 않은 시기다-만 해도 저 근처 지금의 바다는 사람들이 살았다! 

이 순다랜드를 논할 때 중요한 개념이 하나가 더 있는데 그 동쪽 경계로 이른바 월러스 라인 Wallace Line이 등장한다.

앨프리드 러셀 월러스Alfred Russel Wallace라는 사람이 제시한 이 경계를 삼아서 이것이 바로 아시아 육상 포유류 동물군의 동쪽 경계가 된다는 것이며,

이를 분기로 삼아 인도말라야Indomalaya 오스트랄라시아 생태 구역Indomalaya and Australasia ecozones이 갈라진다고 한다.

첨부한 첫번째 지도에 월러스 라인이 보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