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베링기아, 만년전만 해도 아시아 아메리카를 연결한 육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5. 17.
반응형
베링기아. 한때는 육지였다.

 
빙하기 깊은 얼음에 해수면이 급속히 낮아지면서 베링 해협Bering Strait을 가로지르는 육교가 형성되었는데, 이 육교는 호주만큼이나 넓었다.

이 거대한 "다리"는 캐나다 매켄지Mackenzie 강에서 러시아 베르호얀스크 산맥Verkhoyansk Mountains까지 뻗어 있었는데, 오늘날 과학자들은 이를 베링기아Beringia라 부른다.

일러스트는 마크 개리슨Mark Garrison이라는 사람 손끝에서 탄생했다. 

북아메리카 대륙에는 최소 16,500년 동안 인간이 거주한다.

1500년대 초, 초기 정착민과 유럽 사상가들은 인간이 어떻게 북미와 남미에 정착하게 되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한 이론은 노르만인들이 그린란드를 건너 북미로 이주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아틀란티스Atlantis 섬이 신대륙 인류 기원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이론은 이들이 진흙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1800년대 초, 과학자와 이론가들은 수천 년 전 아시아와 북미를 잇는 육교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 육교 이론land bridge은 수 세기 동안 탐험가와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불을 지폈다.
 

베링기아



프라이 호세 데 아코스타Fray Jose de Acosta의 초기 이론

1590년, 스페인 선교사 프라이 호세 데 아코스타는 아시아와 북미를 연결하는 육교를 제시하는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

사람들이 어떻게 신대륙으로 이주했는지에 대한 질문은 당시 사상가와 이론가들 사이에서 널리 논쟁거리였다.

아코스타는 동시대 사람들이 제시한 많은 이론을 거부했다.

대신 그는 아시아에서 온 사냥꾼들이 북쪽 멀리 떨어진 육교나 좁은 해협을 통해 북미로 건너왔다고 믿었다.

그는 이 육교가 자신이 살아 있는 동안에도 여전히 존재했다고 생각했다.

베링 탐험과 쿡 탐험

1682년부터 1725년까지 러시아 차르 표트르 대제Peter the Great는 러시아 제국 동쪽 국경에 대한 탐험을 허가했다.

그는 덴마크 탐험가 비투스 베링Vitus Bering을 영입해 베링 해협 지역 탐험을 이끌게 했다.

탐험 이전, 시베리아 지도에는 축치 반도Chukchi Peninsula 건너편에 넓은 육지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1700년대 초반까지 해협을 통한 여행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었다.

1724년과 1741년 두 차례 베링 항해는 축치 반도 사람들이 알고 있던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바다 건너편에 육지와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 즉 수천 년 동안 베링 해협을 건너 그들이 무역과 여행을 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이었다.

현재의 알래스카 존재를 확인한 두 번째 탐험가는 영국인 제임스 쿡 선장James Cook이었다.

그는 1778년 탐험에서 알래스카 해안의 상세한 지도를 제작했다.

그의 탐험 결과는 베링 해협 지역에 대한 외부 세계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베링과 쿡의 항해 소식이 러시아, 유럽, 그리고 세계 여러 지역에 전해지면서 아시아와 북미 사이의 인류 이동에 대한 이론이 더욱 힘을 얻었다.

육교 이론 The Land Bridge Theory

아시아와 북미 사이에 해협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두 대륙을 연결했을 가능성이 있는 넓은 평야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800년대 초부터 미국 과학자들과 자연학자들은 미국 동부 해안의 고고학 유적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서서히 서부 해안으로 확장했다.

현대 고고학의 선구자들이 발견한 사실들은 인류가 북미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북미 대륙으로 이주해 왔다는 것을 시사했다.

그러나 어디에서 어떻게 이주해 왔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1890년경부터 1925년까지 북미 인구 이동에 대한 연구, 논의, 그리고 탐구는 불확실한 자료 때문에 중단되었다.

과학자들이 북미로 이주한 경로에 대한 증거를 찾기 위해 다시 시작된 것은 1920년대 중반이 되어서였다.
 

베링기아의 아버지 데이비드 M. 홉킨스 David M. Hopkins


데이비드 M. 홉킨스 David M. Hopkins

데이비드 M. 홉킨스는 뉴햄프셔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한 후 1942년 미국 지질학회U.S. Geological Society에 자리를 잡았다.

알래스카로의 첫 여행은 이 지역의 야생적이고 아름다운 풍경에 대한 그의 매혹의 씨앗을 심었다.

홉킨스는 생전에 여름 대부분을 슈워드 반도Seward Peninsula에서 보내며, 훗날 보호구역이 된 이 지역의 지질학을 연구했다.

그는 베링 육교, 베링기아Beringia 연구에 여러 가지 중요한 공헌을 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쓴 논문을 담은 두 권의 책을 출판하는 데 기여했고, 많은 과학자 및 연구자와 협력해 베링 육교Bering Land Bridge에 대한 획기적인 발견을 이루었다.
 
수년 동안 과학자들은 육교에서 발견되었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추측했다.

일부 과학자는 이 육교가 현재의 북극 평원 식생과 유사한 균일한 식생을 포함한다고 믿었다.
 
 
[베링 랜드 브리지 국립보호지역 Bering Land Bridge National Preserve] 

베링 랜드 브리지 국립보호지역 · Shishmaref, AK 99772 미국

★★★★☆ · 자연보호구역

www.google.com

 
홉킨스와 다른 몇몇 과학자는 이 육교가 고도 변화와 표면수 양에 반응하여 식물이 자라는 등 더 다양한 식생을 지탱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홉킨스는 메리 에드워즈Mary Edwards, 클라우디아 호플Claudia Hofle, 빅토리아 괴체우스 울프Victoria Goetcheus Wolf와 함께 1만8천 년 전 데빌 마운틴Devil Mountain 분화로 인한 화산재 층에 얼어붙은 식물 연대를 확인했다.

화산재에서 발견된 식물체 연대는 마지막으로 제안된 육교 개통 시기와 일치했다.

화산재는 18,000년 전 육교의 중앙(북쪽에서 남쪽)이었을 넓은 지역을 덮고 있었다.
 

이걸 보면 대략 8천 년 전 무렵에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은 바다로 분리되기 시작했음을 본다.

 
이들의 공동 연구 결과는 이 육교의 식생 유형이 원래 생각한 것보다 더 다양했음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홉킨스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과학자와 연구자들을 연결하는 데 특별한 능력을 보였다.

그는 다양한 분야 연구자들이 수행한 연구를 연결하여 베링 육교 이론의 개념을 강화했다.

홉킨스는 추코트카 반도Chukotka Peninsula를 연구하는 과학자와 연구자들에게 다가가 그들의 연구를 시워드 반도Seward Peninsula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알렸다.

그는 베링 육교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가 필요함을 인지했다.
 

베링기아

 
베링 육교에 대한 그의 열정은 베링 육교 국립 보호구역Bering Land Bridge National Preserve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베링 육교 이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링기아Beringia는 러시아의 레나 강Lena River과 캐나다의 매켄지 강 사이의 육지와 해상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추크치 해Chuckchi Sea의 북위 72도, 남쪽으로는 캄차카 반도Kamchatka Peninsula 끝자락에 위치한다.

플라이스토세기Pleistocene Epoch,,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하기Ice Age라고 알려진 이 시기는 약 175만 년 전에 시작되어 불과 1만 년 전에 끝났다.
 

 
빙하기라는 명칭은 지구에 끝없는 겨울이 계속되는 시기를 암시하지만, 사실은 매우 다르다.

지구의 기후는 따뜻하고 차가운 기온의 변동을 겪었다. 때로는 이러한 따뜻하거나 차가운 기간이 수천 년 동안 지속되기도 했다.

빙하기 말엽, 지구는 장기간의 극한의 추위를 겪었다.

지구 북부 지역에서는 빙하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지구의 물이 점점 더 빙하에 갇히면서 해수면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해수면이 최대 90미터(300피트)까지 떨어졌다.
베링 해협 아래 땅이 드러나면서 나무가 없는 평평한 초원이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를 연결했다.

이 노출된 땅은 남북으로 1,600킬로미터(1,600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져 있었다.

빙하기 시대가 끝나고 지구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서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했다.

베링기아 섬은 물에 잠겼지만 완전히 가라앉지는 않았다.

디오메드 섬Diomede Islands, 세인트 폴과 세인트 조지 섬 St. Paul and St George 섬의 프리빌로프 섬Pribilof Islands, 그리고 세인트 로렌스St. Lawrence 섬과 킹 섬 King Island은 여전히 물 위로 솟아 있다.

노출되었을 당시, 이 육교는 아시아와 북미 사이의 생명 교류에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이런 식으로 아시아에서 인류가 아메리카 대륙으로 넘어가 퍼졌다는 이론이다.

 
육교 위에서 자라는 풀, 이끼, 지의류는 초식동물을 부양했고, 초식동물은 다시 포식동물을 부양했다.

서서히 식물과 동물 종들이 의도치 않게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식물과 동물 이동을 따라 사람들도 이동했고, 결국 남았다!

베링 해협 양쪽에 사는 사람들은 언어, 혈연, 전통, 그리고 환경에 대한 의존으로 하나로 뭉쳐 있다.

1978년 국립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1980년 국립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베링 육교 국립보호구역은 지구와 인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이 고대 교차로 일부를 보호한다.

이곳의 야생적인 풍경과 독특한 지형은 아시아와 북미 사이의 동식물, 그리고 인류 이동에 대한 귀중한 기록을 담고 있다.

 
순다랜드, 만년전만 해도 수마트라 자바 보루네오는 육지였다

순다랜드, 만년전만 해도 수마트라 자바 보루네오는 육지였다

https://atlantisjavasea.com/wp-content/uploads/2015/09/sundaland-in-the-last-glacial-period.gif이는 시기별 순다랜드Sundaland 변화 양상이라, 아주 정확히 이리 변해갔다 할 수는 없겠지만 대체로 저리 변해갔다 생각하

historylibrary.net

 
 
도거랜드Doggerland, 유럽 대륙과 영국을 한 몸으로 묶은 힘!

도거랜드Doggerland, 유럽 대륙과 영국을 한 몸으로 묶은 힘!

어디메쯤인지는 짐작하는 대로다. 유럽 대륙과 지금은 섬으로 분리된 영국, 그리고 저 위짝으로 스칸디나비아 반도 남쪽으로 돌출한 부분이 보인다. 한데 상당히 지형이 지금과는 다르다. 북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