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五九自述] 내가 말하는 내 금석문 연구성과

by taeshik.kim 2020. 11. 20.
반응형

1. 북한산 순수비를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진흥왕 순수비를 나는 봉선비封禪碑로 되돌림으로써 추사 김정희를 기준으로 200년간 지속한 진흥왕 순수비에 대한 이해 전반을 흔들었다.

 

북한산 비봉에서 



2. 공주 송산리 고분군 중 제6호분에서 출토한 명문전銘文塼을 기존 압도적인 판독인 ‘梁官瓦爲師矣’에서 ‘瓦’를 삭제함으로써 이 6호분 외에도 무령왕릉 전축분塼築墳의 태동 비밀을 풀었다.

 

송산리 6호분 출토 이른바 梁官瓦 명문전돌



3. 武寧零王陵 출토 묘권墓券 두 군데서 보이는 ‘大墓’는 지금의 무령왕릉이라는 특별한 무덤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공산리 고분군이라는 웅진도읍기 백제시대 그들 王家의 집단묘역이며, 더구나 같은 문맥에서 한 차례 보이는 ‘등관대묘登冠大墓’의 ‘등관登冠’은 지금의 송산리 고분군을 지칭하는 웅진도읍기 백제시대 지명임을 구명했다.

 

무령왕릉 출토 묘권墓券 일부



4. 廣開土王碑에 보이는 ‘墓’는 실제 광개토왕이 묻힌 무덤인 ‘陵’와는 달리 이 무덤을 포함한 고구려 先代 王家의 墓域임을 밝혀냄으로써 이 碑가 능역陵域 관리를 위한 법령 포고비임을 드러냈다.

 

개토형 기념비



(2011. 11. 19)

***


저에서 누락한 대목이 있다.

5. 영일 냉수리 신라 비문에 등장하는 차칠왕등此七王等을 이들 일곱 왕들이라 풀며 이 비문이 건립된 지증왕 시대에 신라엔 왕이라 일컫던 존재가 동시에 일곱이나 있었다는 헛소리를 시궁창에 던져버렸다.

이후 보완할 대목이 있다.

 

냉수리비 



6. 부여 부소산성 출토 백제 광배 뒷면 새김 글씨를 何多宜藏治佛로 판독을 바로잡음으로써 하다의장何多宜藏이라는 사람이 이 불상을 조성했음을 밝혀냈다.

 

부소산성 금동광배 뒷면 긁음 글자



7. 일본 후쿠오카福岡 모토오카元岡 고분군 G6호분 철제대도鐵製大刀가 삼인검三寅劍 혹은 사인검四寅劍이며, 그 몸통에 새긴 글자들 중 "作刀凡十二果"는 "칼 12자루를 만들었다"는 뜻임을 밝혀냈다. 

 

모토오카元岡 고분군 G6호분 철제대도鐵製大刀

 

*** related articlew ***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김태식(Kim, Tae-Shik) 《백산학보》 68 (2004): 57-94 *** 봉선封禪이란 무엇인가? 하늘에서 지상의 독점적인 지배권을 부여받았다고 간주

historylibrary.net

 

역사와 문법, 영일 냉수리 신라비와 송산리 6호분 명문 전돌의 경우

 

 

역사와 문법, 영일 냉수리 신라비와 송산리 6호분 명문 전돌의 경우

예서 문법이란 grammar를 말한다. 전근대 한국사는 절대 다수 기록이 한문이거나 혹은 한자를 빌린 이두류이니 개중 한글문헌이 15세기 이후 일부 있다. 한문은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이

historylibrary.net

 

광개토왕비? 장수왕비? 그 새로운 독법을 위한 한 시도

 

 

광개토왕비? 장수왕비? 그 새로운 독법을 위한 한 시도

어제 국립중앙박물관이 '문자, 그 후' 특별전 개최와 맞물려 박물관 강당에서 개최한 자리에서 나는 '광개토왕비, 父王의 運柩 앞에서 靑年王이 보낸 경고'라는 題下의 발표문에서 다음 세 가지

historylibrary.net

 

 

후쿠오카(福岡) 모토오카(元岡) 고분군 G6호분 철제대도(鐵製大刀)를 찾아서

 

 

후쿠오카(福岡) 모토오카(元岡) 고분군 G6호분 철제대도(鐵製大刀)를 찾아서

2011년 10월 6일 연합뉴스에서 송고한 내 기사다. 후쿠오카시(福岡市) 니시구(西區) 모토오카(元岡) 고분군 G6호분 철제대도(鐵製大刀) 출토 소식을 접하고, 현지를 탐방하고 그것을 정리한 르포 기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