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경상도말은 한국어계 외국어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1. 13.
반응형
바벨탑

 
이것도 언제 말한 적 있다. 하지만 아무도 심각성을 모른다. 

용산에서 평생을 산 내 아들의 생모가 시엄니 따라 어느 야심한 밤 마실이란 걸 간 적이 있다. 

쫄래쫄래 따라나설 때, 내가 이상타 했다. 

말 몬 알아물낀데...

아니나다를까 30분만에 돌아왔다. 

"형은 아빠, 무슨 말인지 절반도 못 알아들어서 그냥 돌아왔어."

평균연령 80세 뇐네들이다. 

그 뇐네 중에 내가 알기로 소학교 문전에 가본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그 뇐네 절대다수가 문맹이다. 

요새 그나마 TV 때문에 사정이 달라지진 했지만, 그 뇐네들이 구사하는 말은 서울 사람인 마누라한테는 외국어였다. 

이 뇐네들이 구사하는 경상도말 들어봐라. 

한자는 단 하나도 없다. (2018. 1. 13) 

 
***


네이티브 경상도 말과 서울말 관계는 서울말과 제주도말, 경상도말과 제주어 관계랑 같다.

외국어다. 이 외국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느냐 아니하느냐는 반딧불과 번갯불 차이다.

이를 자꾸만 방언 혹은 사투리 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지만, 방언이 아니라 외국어다. 

국가주의의 폭력, 내셔널리즘이 다른 언어를 한국어라는 하나의 언어로 묶었고 그 하나의 언어 안에서 사투리 라는 더 큰 폭력을 낳았다.

두 언어가 같은 뿌리에서 갈라져 나왔겠지만

두 언어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관계랑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