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군대 가기 싫어 일본으로 밀항한 이맹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1. 1. 30.
반응형

이맹희..이병철 장남, 이건희 큰형. 
1931년생
6.25 발발 때 스무살...징집대상

 

이를 피해 그는 일본으로 밀항했다고 자서전에서 썼다. 밀항의 역사..이것도 누군가는 정리해야 한다. 이 무렵에 대규모 밀항이 이뤄지게 되거니와 내가 아는 문화계 저명인사 중에도 제법 있다.

 

***

 

 

특히 경상도 지역 인사들이 대규모로 밀항을 감행한다. 그 이유 중에 가장 큰 것이 군대였다. 화가 이우환이 대표적이다. 그 역시 징집을 피해 서울대에 다니다가 도망쳤다.

 

자서전을 이런 식으로 읽으면 그 자체 그 시대의 박물관임을 엿볼 수 있다. 경상도 지역 인사들이 많은 이유는 뭐니뭐니 해도 일본과의 지리적 인접성이었다.

 

밀항을 위해서는 교통로가 필연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교통로는 제국주의 식민지가 가져다 준 축복이었다. 적어도 그들에게는...

*** 

 

 

이런 포스팅에 이제는 고인이 된 안병헌 선생이 아래와 같은 논급을 보탰다. 

 
일제시대 '학력=징병'은 아닙니다. 학병은 반강제적 모병에 의한 것.....최남선, 이광수 등이 학생들 군대 가라고 토쿄에 가서 선무했다가 매국노 취급받죠. 학병 참전 권유의 시문 등을 남긴 문인들 또한 마찬가지~~ 요즘 우리나라 국민 개병제와 같은 강제징병은 일제 시대에 딱 한 번 있었습니다. 1944년 학력 관계 없이 신체검사와 함께 군대에 바로 소집된 1924년 갑자생. 이들은 1944년 겨울부터 1945년 종전까지 무조건 일본군인이 되어 만주로, 보르네오로 끌려갔습니다. 좀 형편되는 사람들은 여자 천 명이 한 땀씩 바느질한 훈도시를 차고서....'울지마라 갑자생'은 여기에 연유했습니다. 그때 많은 사람들이 죽고 살아오지 못했습니다. 전사하면 손톱발톱 담긴 흰 당쉐기(유골함)로 돌아왔죠. 그나마 살아남은 이들은 6.25 때 징병 나이를 넘기고도 전시 상황에 휘말려 길에서 걸리면 바로 군대로 끌려갔죠~~~ 그 시기를 지나자 남자 최소 인구비율을 갖게 되죠. 그래서 살아남은 이들은 동갑들을 모아서 최초의 '갑자계'란 것을 만들어 유행시켰답니다. 슬픈 우리 갑자 ~~'울지마라 갑자생'. 징용이나 정신대 등은 또 다른 반강제, 강제, 유혹, 공갈협박, 속임수 등 악질적으로 인력을 수탈하거나 인권을 유린한 것으로, 특정 세대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목적에 부합하는 비슷한 연령이면 합법 비합법 수단을 가리지 않고 대상으로 삼은 것.....

 

병역기피를 위해 온몸에 문신을

 

*** related article ***

 

 

이맹희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

 

 

이맹희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

저녁에 들른 독립문 골목책방서 이천원에 구입한 이맹희李孟熙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다. 부제를 보면 회상록이라 했다.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회장 장남이면서 3남 이건희의 친형이자 CJ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