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담양에서 나는 청대죽靑大竹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4. 10.
반응형

담양 소쇄원 대숲



담양하면 지금도 대나무와 죽제품으로 저명하거니와, 이런 전통은 조선시대라고 해도 다른 것도 아니었다. 


조선후기 임득명(林得明, 1767~1822)이라는 위항문인이 있고, 그의 시문을 묶은 것으로 《송월만록松月漫錄》이 있다. 이에 수록한 시로써 다음과 같은 아주 긴 제목을 단 한 편이 있다. 기호철 선생이 그의 네이버 블로그에 소개한 글인데 전재한다. 


내의원에 공물로 바치는 청대죽이 순창과 담양 두 고을에서 많이 나는데, 해마다 역을 거쳐 올라오는 수량이 500개를 밑돌지 않는다. 요사이 도처에서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 올라오는 것을 보고 시로 쓴다.[藥院進貢靑大竹, 多出於淳昌、潭陽兩縣, 而每年遞驛上來之數, 不下五百箇。近日連路不絶, 寓目發吟。]

 

순창과 담양의 대나무 서까래만큼 커서

공물로 상납하는 수량 해마다 500개

임금님 쓰고 남은 건 백성에게 돌아가니

서울의 사월 초파일 연등 가득 매달렸네


淳潭竹樹大如椽, 上貢年年數半千。御用餘材歸百姓, 京城八日萬燈懸。

(《松月漫錄》 冊2) 


담양 소쇄원



청대죽이 별거라고 생각할 필요없다. 말 그대로 푸른 대나무로써 덩치가 큰 것이니, 이는 지금도 담양 대나무 숲에서 흔히 보는 그것이다. 


그런 큰 대나무를 공납물로 바쳤던 것이니, 그것을 거둔 관청이 약원藥院이라 하니, 대나무와 약원이 무슨 상관인지 생각해 봄 직 하나, 아직 내가 그에는 미치지 아니했다. 그 용처가 초파일 연등 달기라 했는데, 이 역시 흥미롭기는 하다. 


그건 그렇고, 대나무 공납품은 이송 작업이 지랄이었을 듯한데, 그 고역 역시 만만찮았을 것이다.  


담양 소쇄원에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