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자도 이런 저런 일을 하다 보니 나라 밖의 대학,
그리고 연구자들과 교류가 좀 있는 편인데,
필자 기억으로는 선진국 후진국을 막론하고
연구를 하다가 정치판으로 들어갔다는 이야기는 정말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같은 동양권인 일본의 경우도 필자가 속속들이 알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필자가 아는 한 대학에서 제대로 연구를 하던 사람이
중의원선거니 참의원선거니 나간다고 하는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는 듯하다.
물론 필자가 과문해서일 수도 있겠고,
필자가 아는 사람들 폭이 좁은 탓도 있겠다.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 대학과 정치판의 교류,
특히 연구자들과 정치판의 동기화가 너무 심하다고 보는데
국제적으로 따져 봐도 아마 유례가 없을 수준일 것이라 생각한다.
아마도 대학의 연구자들이 정치판 진출이 잦은 것은
그만큼 대학교수 출신들이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는다는 의미일 텐데
과연 정말 그만한 학문적 수준에 우리나라 대학이 도달한 것인지 모르겠다.
필자는 그래서 요즘 조선후기의 지성사에 대해 의문이 많다.
대한민국의 학적 전통이 조선후기와 직접 이어진 부분이 적지 않고
지금 소위 지식인들의 처신도 조선후기 유림과 유사한 부분이 많을진대,
과연 조선후기 지성사가
우리 사회에서 당시 유림을 지식인으로 존중했던 정도로 대단했던 것일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대학과 정치판이 이처럼 서로 좋아서 죽고 못사는 한은
우리나라는 인문학의 대석학, 자연과학의 노벨상 수상자는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를 모르면서 일본사와 비교할수 있을까 (0) | 2024.04.05 |
---|---|
조몽시대의 두개골 손상 (0) | 2024.04.04 |
닭 사육의 기원 이야기 (1) | 2024.04.03 |
구리와 화폐경제 (1) | 2024.04.03 |
조선시대 이해에 가장 중요한 에도시대 (0) | 2024.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