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러시아 이긴 이태째에 일본 군인에게 청나라 유학생이 글씨를 써주다

by taeshik.kim 2024. 2. 17.
반응형



1900년대를 전후한 시기, 생각보다 많은 동아시아 지식인이 일본에서 희망을 찾았다.

서구 열강의 침략에 시들어가는 그들의 조국과 비교해 볼 때, 개항 이후 열강화해가던 일본은 어쨌거나 좋은 본보기였기 때문이다.

이에 그들은 일본 유학을 경쟁적으로 떠난다. 베트남에서 일어난 동유東遊 운동이 그 대표적인 사례가 되겠다.

청일전쟁으로 양무운동이 스러졌고, 변법자강운동마저 실패로 돌아갔던 청나라에서도 일본 유학 붐이 인다.

청나라가 1912년 멸망하고 민국시대가 열렸지만, 일본에 유학가는 이들은 줄지 않았다.  

노신(1881-1936), 곽말약(1892-1978), 주은래(1898-1976) 같은 거물들이 그 시절 앞서거니 뒤서거니 일본 유학을 떠났던 이들이다.

정작 이들은 일본에서 '중국'의 현실을 깨닫고 돌아오지만 말이다.

그런 그들과 비슷한 시기, 청운의 뜻을 품고 일본에 갔던 청나라 유학생이 한 명 있었다.

산동성 등주 출신인 왕신신王信臣(신신은 아마 자인듯 싶다)이란 양반인데, 어떤 인연이었는지는 몰라도 다카야마高山 大人이란 일본 군인에게 자기가 지은 시를 친필로 한 폭 써주었다.

재밌는 건 연도 표기 방식이다.

청나라 연호도 아니고 일본 연호도 아니고, 간지도 아니고 '정로征露 2년' - 러시아를 정벌한지 2년째라고 쓴 것이다.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이긴 것이 얼마나 큰 충격이었으면 그걸 저렇게 썼을까(하기사, 정로환도 그래서 '러시아를 정벌한 알약' 아니던가).

기점을 시작으로 하면 1906년, 종료로 하면 1907년이겠다.

필치는 제법 단정하다.

약간씩 획에 과장은 있지만, 젊은이의 글씨인데 그런 게 없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 헌데 그 내용은, 미사여구를 걷어내면 딱 유학갔다 돌아가야하는 학생의 신세한탄이다.

다카야마 상이 하숙집 주인이었던가?

여러 해 고학했어도 학업 이루지 못했네
하루아침에 적 막아냄 어찌 쉽고 가벼우리
스물다섯 해일랑 하룻저녁의 꿈 같도다
능력 좋은 후배가 나의 정성 이어받으리


1882년 또는 1883년생이었을 이 왕신신 선생이 민국시대의 소용돌이를 어떻게 헤쳐나갔을지 모르겠다.

그건 어찌어찌 지났다 하더라도 국공내전, 대약진운동, 어쩌면 문화대혁명까지...

그 난리통은 과연 버티실 수 있었을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