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제 리처드 3세의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보자.
리처드 3세 인골에서는 부계유전자와 모계유전자가 각각 확인되었다.
이를 가지고 이 유골이 리처드 3세의 것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될까?

위 그림을 보자.
위 그림의 오른쪽 한켠에 리처드 3세가 있다.
이걸 먼저 확인하자.
다음으로 가장 위에 에드워드 3세가 있다.
에드워드 3세에서 리처드 3세까지는 Edumnt, Duke of York, Richard Pantagenet, Earl of Cambridge, Richard Palntagenet, Duke of York 의 순으로 전달된다음 리처드 3세까지 이어진다.
에드워드 3세에서 리처드 3세로 이어지는 왕실 계보가 되겠다.
그런데 리처드 3세의 어머니는 Richard Plantagenet, Duke of York 의 부인은 Cecily Neville이며
이 두 사람이 각각 아들로는 리처드 3세, 딸로는 Anne of York를 낳은 것이다.
여기서부터 중요하다.
리처드 3세의 부계유전자는 에드워드3세에서 리처드 3세로 내려오는데, 이는 리처드 3세가 비명에 갔으므로 그 후손은 없다.
대신에 에드워드 3세의 또 다른 아들이 John of Guant인데 이 쪽에서 부계 유전자가 계속 내려가
그 후손이 지금도 살아 있다.
리처드 3세의 모계 유전자는 어머니 쪽에서 온 것이므로 Cecily Neville의 어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그렇게 위쪽으로 이어지며
아래로는 Cecily Neville의 딸, 리처드 3세의 여동생인 Anne of York의 딸, 그 딸의 딸, 그 딸의 딸의 딸... 이런 식으로 모계로만 내려간다.
그 후손이 지금도 있다.
그 남아 있는 모계 후손이 그림에서 보이는 마이클 입센과 Wendy Duldig이다.
마이클 입센은 왕실과는 아무 관련도 없고, 평범한 목수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 이 모계후손은 리처드 3세의 후손이 아니다.
리처드 3세와 같은 모계유전자를 가진 여동생의 모계 후손이 되는 것이다 (한 세대가 내려갈 때 마다 성이 바뀐다).

'미라 이야기 > 마왕퇴와 그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왕퇴와 그 이웃-101] 리처드 3세: 얼굴 복원-1 (0) | 2025.04.06 |
---|---|
[마왕퇴와 그 이웃-100] 리처드 3세: 유전학적 분석-3 (1) | 2025.04.06 |
[마왕퇴와 그 이웃-98] 리처드 3세: 유전학적 분석 (1) | 2025.04.06 |
[마왕퇴와 그 이웃-97] 리처드 3세의 경우: 첫단계-기형의 확인 (1) | 2025.04.06 |
[마왕퇴와 그 이웃-96] 리처드 3세의 경우 (0) | 2025.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