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묻는다. 제주 관덕정은 대체 뭐하던 개뼉다귀인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3. 2. 26.
반응형

어쩌다 제주 관덕정을 서칭하게 되었으니 그러다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아래와 같은 설명을 마주했다.


보물
제주 관덕정 (濟州 觀德亭)
Gwandeokjeong Hall, Jeju



제주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제주 관덕정은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다.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에서 따온 말로,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누정 건물은 『탐라지』에 의하면 조선 세종 30년(1448) 안무사 신숙청이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고 하며, 성종 11년(1480) 목사 양찬이 고친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보수한 것으로 원래의 건축 수법은 17세기 전후의 것으로 추정한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건물은 사방이 탁 트이게 뚫려 있고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새부리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를 기둥 위에 두 개씩 짜 놓았다.

관덕정의 편액은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의 글씨였으나 화재로 손실되어 현재의 글씨는 선조때 영의정을 지낸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작품인 것으로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지은 『남사록』에 의해 밝혀졌으며, 지붕 처마가 긴 것이 특징이었는데 1924년 일본인들이 보수하면서 처마 부분을 많이 잘라냈다.

제주 관덕정은 제주도의 대표적 누정 건축으로 건축사 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며 건물 안쪽 대들보와 그 아래에 그려진 작자를 알 수 없는 벽화도 상당히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것이 전문이다. 저걸 읽어내려가며 관덕정이 뭐하는 덴지를 하염없이 기다렸지만 그 어디에도 그에 대한 논급은 눈꼽만큼도 없다.

저 논급 중

이 누정 건물은 『탐라지』에 의하면 조선 세종 30년(1448) 안무사 신숙청이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고 하며

라는 구절이 그나마 의문을 풀 만한 구절이나 애초 생길 적 그 기능이 죽 유지되었는지 그 어떤 논급도 없고 이후 어떤 기능으로 변모되었는지도 흔적조차 없다.

대신 빈껍데기에 매달려 하나마나 한 진술, 곧 전면 몇간이고 측면 몇칸이니 하는 씨잘데기 없누 구절로 점철한다.

거의 모든 문화재 설명이 저 모양이라 물론 그것을 기술한 사람 혹은 부서에 따라 중점이 달라지긴 하겠거니와 저 제주관덕정 역시 건축쟁이 관점에서 건물이란 껍데기를 중점하는 논법을 뭐라 할 순 없겠지만 그것만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그 기능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본령이요 본체이며 앙코라 그것을 쏙 빼버리고 저 모양 기술로 어찌하여 실로 담대하게 이것이 관덕정이요 하고 내세울 수 있단 말인가?

이러고도 문화재청은 국가의 녹을 먹을 자격이 있다는 말인가?

묻는다.

대체 제주 관덕정은 뭐하던 개뼉다귀인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