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然後君子"
공자가 말했다. "생각이 표현방식보다 앞서면 조악하고, 표현방식이 생각보다 앞서면 겉만 번드레하다. 생각과 표현방식이 절절이 조화를 이룬 이후라야만 군자다."
이 말은 여러 용도가 있었으니, 개중에서도 가장 널리 애용된 곳은 문장론이었다. 이에서 質은 자기가 표출하고자 하는 자기 생각이다. 文은 그것을 표현하는 문장 표현 양식이다.
문장에 신경쓰지 않고, 지 생각만 강요하고자 하면, 천박하기 짝이 없고, 반대로 문장이라는 꾸밈만 내세우고, 지 생각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는 글은 겉만 요란할 뿐 내용은 없다는 말이다.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문장다운 문장이 된다는 뜻이다. 이 말 정곡을 찌른 표현이 "보기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다.
생각인가 문장인가? 이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지식인 사회에서는 2천500년간 간단없는 쟁투를 벌였다.
(2018. 6. 22)
*** related article ***
경술經術과 문장文章, 동아시아 2천년 논쟁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송의 노래[白松頌] (0) | 2020.06.24 |
---|---|
표절과 인용(2) (3) | 2020.06.23 |
기록이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 (0) | 2020.06.21 |
가만히 봐야 이쁜 꽃 (0) | 2020.06.21 |
균질을 강요하는 사회, 균열을 쟁투하는 사회 (1) | 2020.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