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부여 석조, 연꽃이 없어 왕궁에서 썼다고?

by taeshik.kim 2023. 5. 7.
반응형

Treasure

Stone Basin, Buyeo
부여 석조 扶餘石槽


Classification : Treasure
Name of Cultural Properties : Stone Basin, Buyeo
Quantity : 1 stone basin
Designated Date : 1963. 01. 21
Age : Baekje Period
Address : Buyeo National Museum 5, Geumseong-ro, Buyeo-eup, Buyeo-gun, Chungcheongnam-do

 

 

Previous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government office in Buyeo, this stone basin was moved to the former museum sit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s currently kept at Buyeo National Museum.

According to a local legend, someone from the royal palace planted lotus flowers in the stone basin during the Baekje Dynasty.  

This round-shaped stone basin stands on a 工-shaped base with no decoration.

The mouth of the stone basin tapers a little and describes a circular arc.
 

 
The bottom surface is flat with soft curves. The outer surface is carved with eight vertical patterns.

The inscription on the basin, which is similar to the one on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te, Buyeo (National Treasure No. 9), states that the Tang Dynasty of China had conquered Baekje. 

As the stone base is unadorned with lotus flowers, it would seem that this relic isn’t really related to the templ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stone basin is known to be the former site of the Baeke royal palace, it is presumed that it served as a lotus bowl at the palace. 

The voluminous shape and sleek curves of the basin reflect the aesthetics of the Baekje people. 
 

 
부여현 동헌 건물 앞에 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높이 1.57m, 지름 1.42m. 석조란 간단히 돌로 만든 물을 채우는 그릇 혹은 구유통이라는 뜻이다. 

이렇다 할 무늬가 없는 받침돌은 돌덩이 하나를 ‘工’자 모양으로 깎아서 만들었으니, 아래받침돌과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로 구성된다. 그 위에다가 가운데를 파내고 아가리로 올라가면서 약간 오므라드는 형태의 거대한 둥근 돌을 얹었다.
 

 
 
이 몸돌 겉면에는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이라고 글자가 확인되는 여러 줄 글자를 새겼다. 이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에 새긴 문구와 아주 흡사해 당나라 군대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그 기념으로 새겼다고 추정된다.

이 석조는 연꽃무늬 장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이 석조가 있던 장소가 백제시대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백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
 

 
 
저와 같은 식의 천편일률과도 같은 해설이 보이지만 이참에 간평한다. 

연꽃 무늬가 없다 해서 사찰과 관련이 없다? 누가 이딴 소리를 한단 말인가? 저 전체 모양이 이제 터지려는 연꽃 봉우리를 형상화한 것인데 그런 조형물에 무슨 연꽃 무늬가 따로 필요하단 말인가? 

연꽃이라 해서 모름지기 사찰과 관련한 물건이라 볼 수는 없지만, 저건 사찰에 안치했던 석조가 맞다. 그 자리는 어디인가?

단안은 하지 못 하나 정림사로 봐야 한다. 
 

 
왕궁 안에 있던 유물은 아니다. 그 결정적인 증거는 저기가 당나라 군대가 백제를 평정했음을 자랑하는 문구를 새겼다는 데 있다. 저 안내문에도 지적했듯이 저와 같은 승전의 기념물로 현존하는 것으로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있거니와, 왜 거기다가 큼지막하게 당군은 승전 기념을 했겠는가?

말할 것도 없이 그곳이 사람의 내왕이 많은 곳이기 때문이다. 독자가 누구인지를 쳐다보는 일이 해당 텍스트가 무엇을 지향했는지를 아는 지름길임을 누누이 지적했다. 

이 석조물 또한 마찬가지라도 당연히 사람 내왕이 많은 데 있었기에 저런 내용을 새긴 것이다.

왕궁 안? 물론 당군 점령 이후 왕궁이 개방됐을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그럴 가능성 없다고 본다.

다시 말해 왕궁은 여전히 당군이 주둔하는 일반인 금지구역이다. 
 

 

저 석조에 저런 기념비를 새겼다는 것은 그만큼 저 석조가 백제 당대 사비성에서 차지하는 대중성이 컸다는 뜻이다.

말도 안 되는 헛소리는 이젠 그만 듣고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