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분노와 절박, 주저앉음에의 저항

by taeshik.kim 2023. 8. 20.
반응형



투자, 특히 그 대상이 사물일 때는 말할 것도 없고 사람일 때도 가장 이상적인 결과는 윈윈이다. 나도 그를 통해 내가 없는 그 무엇을 얻고 그 또한 나를 통해 그가 없는 그 무엇을 얻어야 한다.

이것이 합작이 성공하는 절대 관건이다.

물론 많은 경우 저 관계는 여러 이유로 이내 흐지부지하거나 심지어 원수로 돌변해서 파탄나고야 만다.

내가 뭐 거창하게 사람을 투자한 적 있던가 자문하곤 하는데 안 해본 건 아니라고 하고 싶다.

이건 일전에 한 말인데 개중 그런 대로 잘 풀리는 사례가 없지는 않으니 이 경우 거의 예외없이 나중에 잘 되서서는 지가 잘 나서 그리된 줄 알더라.

물론 이건 내 기준이고 내가 투자한다 생각한 저쪽에선 얼마든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건 안다.




내가 무에 거창한 인재 투자를 하겠는가? 내 수준에서는 저짝에 무명으로 뒹구는 친구들 중 싹수가 있다 판단한 몇몇을 내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등단케 하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래서 이런 이야기들은 너무 거창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면 한다.

나는 첫째 싹수를 보고 둘째 절박을 보며 셋째 분노를  본다.

싹수란 잠재성 혹은 전문성 혹은 실력을 말하는데 과연 저 친구가 해당 분야를 주름잡을 자질 혹은 실력을 말한다. 물론 오판하는 일도 적지 않다.

그 다음이 절박인데 현재의 무명을 벗어나려는 욕망이 있는가를 본다. 이 욕망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안 된다.




요새 유행하는 말로 예를 들자면 관종인데, 나는 매양 그런 말을 한다. 인간은 오직 두 부류가 있다. 이미 관종인 사람과 관종을 준비하는 사람 딱 두 성향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나는 모든 인간은 관종으로 태어난다고 본다.

문젠 이 관종이 발현하는 방식이다. 내가 보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시종일관 힘들다 징징거리거나 아니면 매양 지 얼굴이나 팔면서 싸구려 동정심이나 유발하는 방식으로 관종을 소비한다.

이 일상의 관종은 실은 패배주의에 다름 아니다.

그래서 나는 셋째 분노를 끌어내려 한다. 이른바 성공이 무엇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내가 투자하려는 사람들한테 매양 묻는 말이 너 이대로 살래? 다.

이대로 만족한듯 살다 뒤질래 물으면서 분노를 이끌어내려 한다.

나로선 현실에 안주하려는데 대한 유혹을 처단하고자 함인데 실은 이는 프로이드가 구사한 방법을 원용한 것이다.




프로이드는 언제나 충격요법을 쓴다. 그 충격은 내가 이해하기로는 현실에 대한 일깨움이고 떨쳐일어남에의 욕구 만들기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도 여전히 하나만은 유효하다 보는데 그래서 나는 지금도 묻는다.

이대로 살다 뒤질래? 억울하지도 않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