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비닐하우스와 경운기, 농업혁명의 시작

by taeshik.kim 2023. 8. 14.
반응형



콩알 만한 토마토를 키우는 비닐하우스다.

옛날엔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한 농가 수익 작물이다.

동네 형님 젊은 아들 내외가 들어와서 아예 정착해 농업을 생업으로 삼아 자식들 다 공부시키고 한다.

같은 땅이지만 세대가 바뀌고 농법이 바뀌니 농사로도 먹고 사는 시대가 우리 동네에서 열렸다.




포도다.

김천서 포도야 조마가 유명했으니 거긴 감천이라는 낙동강 지류가 만든 충적평야가 발달한 덕분이다.

집 우물가에나 한두 그루 심던 포도가 이 산촌에서도 출하를 목적으로 대량 재배되기 시작했다.

같은 땅인데 주리기만 해서 하루하루를 버티기도 힘든 날에 견주면 격세지감이라 소출도 없는 논을 오로지 먹어야 한다는 일념으로 주구장창 나락 농사만 지어댔다.

그래서 열 식구가 바글바글 일단은 먹기는 했다.

하지만 농사는 하늘의 변덕에 달렸으니 비라도 많이 오는 시즌이면 어김없이 나락은 병이 들어 쭉정이만 선사하고 멸구가 덮쳐 그나마 남은 나락도 검게 갉아먹었다.

저 들녘에 경운기가 보인다.

저 경운기는 어린시절엔 없었다.

그것이 들어오며 지게랑 리어커에 의지한 고단한 삶은 또다른 단계로 접어들었다.

지례로 김천으로 백리길 오일장을 걸어다녀오던 보부상 시절을 끝낸 장본인이 저 경운기라

비록 가끔 미류나무 양쪽으로 무성한 비포장 도로를 온동네 사람들이 저 경운기 타고 다녀오다 차량이랑 충돌을 일으켜 심지어 목숨을 앗아가는 비극이 있기는 했지만 저 경운기는 보부상 시대를 끝장냈다,




저 비닐하우스 경운기는 비록 우리 동네 기준이기는 하나 가난의 질곡에 시달리던 이 산촌에는 한 줄기 빛이었고 어쩌면 산업혁명이었다.

이런 점들이 근자 수원에서 개관한 농업박물관에서 어찌 처리했는지 모르겠지만 반드시 논급해야 한다.

저들은 진짜한 또 다른 농업혁명을 불렀으니 나락의 포기였다.

그때는 나락이 없으면 죽는다 생각했다.

그래서 천수답이란 이름으로 물이 날 만한 곳이라면 죽으라 논을 만들어 벼농사를 지었다.

그것이 사는 길이라 믿었기에.

그런 이 농촌에, 거름이라곤 똥간에서 똥장군에 지다 나른 똥오줌 말고는 없던 그런 농촌에 비로 나락을 포기하니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지나고 보니 나락 농사만큼 멍청한 짓 없다.

나락을 뽑아버리고 다른 작물로 돌아서니 비로소 농촌도 먹는 문제에서 벗어났다.

이것이야말로 농업혁명 아니겠는가?

또 하나 도시화 산업화 바람에 대가족이 해체하고 이농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농촌이 살아난 이야기도 있지만 이건 두어번 말한 적 있으므로 생략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