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남 봉은사는 서울에서는 봄이 가장 빨리 찾는 곳이다. 역시 강남이라서인가? 도심인 데다 볕이 잘 들며, 무엇보다 그 뒤편으로는 경기상고인가가 위치한 얕은 산이 한강에서 불어닥치는 북풍을 막아주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오늘 어떤 인연으로 찾은 이곳은 봄이 만발했다. 산수유는 만개해 활개를 친다.





산수유뿐인가? 홍매는 이미 절정을 지나 오그라 들기 시작한 모습이다.
사대문 안에서는 이제 겨우 꿈틀대기 시작한 봄이 이곳에서는 절정을 지나 만기로 접어든다.




얼마전 어느 지인이 이곳을 찾아 홍매 몇 송이 담아 올렸는데 보니 겨우 서너송이 핀 모습으로 갖은 고역 기울여 봄이 만개한 것마냥 조작한 흔적이었으니 그걸 보고는 불쌍타 했더랬다.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진강 변 구례로 미리 마중 나간 봄 (1) | 2022.03.26 |
---|---|
전방후원분이 한반도에서 비롯됐다는 강인구의 유산은 어찌 봐야 하는가? (1) | 2022.03.24 |
청와대, 연속극 시청에는 제격인 쌍궐雙闕의 금중禁中 (1) | 2022.03.21 |
늦바람에 벗겨지는 용마름 (1) | 2022.03.20 |
천지사방 산뿐인 고향, 또 수도암에서 해인사까지 (0) | 2022.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