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이 무덤은 신라시대 신라사람이 남긴 것이다.
금동관은 완전히 신라식이며 기타 역시 마찬가지다. 뒤에 볼 쌍분雙墳이란 형식도 마찬가지다.
물론 이른바 현지 전통이 많이 가미했다. 동시대 경주 중심 중앙 지배층에서는 적석목곽분이 대세지만 이곳은 석실분이다. 그 석실은 가야문화권에서는 일반적인 길쭉이 세장방형이다.
적석목곽분은 동서 장축에 머리는 동쪽에 두지만 여긴 남북 장축에 머리는 남쪽에 뒀다.
2. 무덤을 만든 시기는 지증왕 2년(503) 이전이다.
신라는 저때 순장을 금지했다. 따라서 순장이 드러난 이 무덤은 그 전에 등장해야 한다. 조사단에서는 5세기말~6세기초 라는 시점을 제시했지만 앞당겨야 한다. 소지왕 혹은 자비왕 무렵이다.
3. 39호분과는 쌍둥이다. 39호분 봉분 일부를 침범하면서 만들었으니 63호분이 늦게 들어섰다.
따라서 이 두 고분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부부일 수도 있고, 부자일 수도 있으며, 모녀일 수도 있다.
4. 63호분 주인공은 성별로는 여성이다.
따라서 39호분은 그 남편이다. 39호분이 규모가 더 큰 까달이다.
반응형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병찬 시대를 맞는 국립중앙박물관 (1) | 2020.11.01 |
---|---|
금동관 안내놓았다고 버림받은 창녕 교동송현동고분군 짜투리 무덤 (0) | 2020.10.29 |
A set of accessories unearthed from 1,500 year old tomb (0) | 2020.10.29 |
창녕 신라고분, 발굴착수에서 금동관까지 (0) | 2020.10.29 |
신라화한 비자벌 유력자의 죽음 (0) | 2020.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