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년(순조 7년)의 경우 <증보문헌비고>에 나온 당시 인구는 7.561.463명이었는데
그보다 18년 후인 1835년(헌종 원년)에는 6.615.407명으로 거의 100만명 정도가 줄었다.
18년 동안 일어난 거의 100만에 가까운 인구감소는 주로 역병과 기근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인구감소보다도 훨씬 더 많았다.
위와 같은 이야기가 있는 바,
물론 순조 연간이 전통적 감염병에 콜레라까지 성하여
매우 사람이 많이 죽었던 시기임은 분명한데,
저 인구 감소는 단순히 사람이 죽어서 그런 것이 아닌 듯하다.
저 시기의 호적을 보면 부실 그 자체다.
원래 있었던 가구가 사라지고,
아예 마을 전체의 호구가 1/3도 기록이 안 된 동네도 나온다.
이것이 물론 감염병 때문에 죽어서 사라졌을 수도 있겠지만
이런 징후가 이미 18세기 말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전염병 때문이 아니고
호적 탈루의 경향이 18세기 말부터 순조연간까지 격심했던 듯 하다.
저 19세기 초반의 감염병 시대가 지나고 나면
호적이 다시 훨씬 나아지는데
이때가 바로 19세기 중반으로
순조 연간을 지나고 보니
이때가 되면 동네마다 왠 양반이 가득해져
이전에 평민 직역이었던 이들도
대거 유학과 한량 등으로 족보에 나타난다.
유럽에서 흑사병 시대가 지나고 나면
이전 중세사회의 구조가 무너지고 근대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한국의 19세기 전반이 그랬던 것일까.
아무튼 19세기 중반이 되면
물론 강력한 양반이 지배하는 촌락은 예외적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유학과 한량호가 급증하여
가구당 3-4명 정도의 사람으로 구성된 소농이 한국의 주류가 된다.
이 시점이 필자가 보기엔
바로 소작제가 보편화한 때다.
18세기까지는 호당 인구가 결국 부의 상징으로
주호와 그 처자식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노비로
거대한 호를 하나 만들어 이 집이 결국 부자이자 양반호가 되는데
19세기 중반에는 호적만 봐서는 양반호와 지주 구별이 매우 어렵다.
3-5명의 소가구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는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가 운영되고 있었을 것임을 분명히 알수 있다.
이 시점이 19세기 중반으로
이때까지도 노비 100여 명을 사역하는 대규모 노비노동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중세적 노비사역은 그 종언을 어느 정도 고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남아 있는 호적은 1870년 경으로
개항 직전인데
요즘 주민등록과 별차이 없는 가구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 단계에서 한국은 개항과 제국주의의 격랑에 들어가기 시작했다고 봐도 될 듯하다.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균역법 줄어든 세수의 충당 (0) | 2025.09.07 |
---|---|
백년 정도 빨라 보이는 지주전호제 (0) | 2025.09.07 |
무자비하기 짝이 없는 서얼금고 (0) | 2025.09.07 |
절반도 파악 안 된 1801년 조선 인구 700만 (1) | 2025.09.06 |
우리 대부분은 유학모칭자의 후예이다 (0) | 2025.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