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쉽게들 생각하는 "근대적 사유"

by 초야잠필 2024. 11. 24.
반응형

우금치 전투 기록화


개항 이전 근대적 사유가 조선에 이미 있었다는 주장은 

따지고 보면 시장경제의 맹아가 이미 조선 후기에 싹터 올라오고 있었다는 주장만큼이나 

식민사관 타파를 간판으로 내건 한국사학에 있어 중요한 사명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필자 생각은 이렇다. 

조선이 만약 개항 이전에 제대로 된 근대적 사유, 

아니 그 싹이라도 제대로 만들어져 있는 상황이었으면

한국은 일본 식민지가 되었을 리가 없다. 

어떻게든 식민지화를 피해 근대화의 길로 갔을 것이라는 말이다. 

한국인과 한국사는 그 정도의 역량은 있다는 것을

해방 이후 70년 역사가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더 왈가왈부할 필요도 없다.

조선은 개항 이전 그 최소한의 근대적 사유도 없었기 때문에

19세기 말 부랴부랴 근대도 아니고 전통도 아닌

왕조를 엎기는 엎어야겠는데

함량 미달의 동학으로 무장하고

혁명군이 손발은 있되 머리는 없는 모습으로 왕조 타도를 위해 나선 것 아니겠는가.

한국에 제대로 된 근대적 사유가 발생하여 꽃을 피우기 시작하고 있었다면

뭐가 답답해서 동학을 들고 나와 혁명을 시도했겠는가.

그보다 더 빡세고 폼나는 프랑스 혁명 미국혁명이

이미 동학 100여 년 전에 있었는데 말이다.

조선후기 사상사에서 

근대적 사유, 근대적 맹아라는 말은 그래서 쉽게 붙여서는 안된다. 




필자가 보기엔 조선후기 실학자 그리고 다산이 근대적 사유를 했다면

동시기 에도시대의 저쪽 지식인들은 도대체 뭐라고 불러야 하겠는가? 

그 정도는 되야 근대적 사유라고 이야기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조선후기-. 

개항 이전. 

안타깝지만 우리나라에는 근대적 사유가 없었다. 

있었다면 식민지에서 벗어나 자주적 근대화의 길을 걸어갔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