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압도적 인용빈도 미셸 푸코의 위대함

by 초야잠필 2023. 11. 11.
반응형

미셸 푸코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있겠지만, 

적어도 학문적 지표로만 보면 미셸 푸코는 인문학 부분 노벨상이 있다면 최초로 수상했을 사람이다. 

그의 인용빈도를 구글 Scholar에서 보면, 


이와 같다. 

풀어보면, 

지금까지 미셀 푸코가 쓴 저술은 총 132만 번 인용되었고, 

h-index가 310이나 된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 숫자냐 하면,

그의 논문 중 310번 인용된 논문이 310개나 된다는 소리다. 

자연과학 분야 연구자도 이 정도 h-index를 보유한 사람은 거의 없다. 

h-index는 그 한계도 많이 지적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지표 중에는 

소위 말하는 석학을 구별해 낼수 있는 가장 유효한 지표이다. 

쉽게 말하면 이렇다. 

어떤 사람이 쓴 논문이 200개가 있다고 치자. 

그 중에 20번 인용된 논문이 20개가 있다면 그의 h-index는 20이다. 

만약 20번 인용된 논문이 21개가 잇다면? 그리도 h-index는 20이다. 

h-index는 인용된 숫자와 그 논문의 편수가 일치해야 하나씩 올라간다. 

따라서 이 사람의 h-index가 21이 되려면 21번 인용된 논문이 21개가 나와야 비로소 h-index가 21이 된다. 

그렇게 보면 푸코의 h-index 310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알수 잇다. 

구글에는 인용되는 논문이 거의 잡히는데, 

구글에서 확인되는 인용된 것만 따져서 310번 인용된 논문이 310개라는 이야기다. 

이 정도라면 자연과학자라면 노벨상을 수상하고도 남는다. 

푸코는 호불호를 떠나서 학문적인 분야에서 본다면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학계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학자가 대가인가 아닌가, 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는가 아닌가는 이렇게 정량화한다. 

그냥 보고 폼잡고 이야기한다고 대가라고 불러줘야 하는게 아닌 거다. 



내가 대가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면, Google Scholar를 들어가 자신의 h-index를 확인해 보면 된다. 

논문을 수백편을 썼어도 그 논문을 인용한 사람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Google Scholar가 파악한다면, 그의  h-index는 0이다. 

왜 학자들이 한 편이라도 자기 논문을 더 인용시키려 발악을 하는지 그 이유가 분명하지 않는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