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심적 지식인"은 없다. "입맛에 맞는 지식인"이 있을 뿐.
일본이나 미국 같은 데서 활동 중인 지식인으로 흔히 '진보'로 분류되어 그 사회 내부를 향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이들을 대한민국 사회, 특히 일부 지식인 그룹과 언론에서 "양심적"이라는 딱지를 붙이지만, 개소리다.
그들을 환호하는 까닭은 대체로 그 목소리가 우리가 원하는 목소리이거나 그에 가깝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목소리, 우리가 듣고 싶어하는 이 목소리야말로 아첨이다.
이들에게선 그 사회가 안 보인다.
예컨대 이른바 비양심적이며 이른바 보수적인 일본의 소리.
그것을 인내하는 마음이 아니라 동조하는 마음으로 읽을 때 비로소 나는 일본이 보인다고 본다. (2011. 8. 10)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구산동 고인돌 자문과 문화재위원의 이해충돌 (1) | 2022.08.13 |
---|---|
banjiha & Gangnam, 폭우 타고 한국을 역습하는 한류들 (0) | 2022.08.11 |
또 부러진 문묘 은행나무, 엄벌 엄포 머쓱한 문화재청 (1) | 2022.08.09 |
문화재 보수정비, 용인 수녕이를 보라!! (1) | 2022.08.09 |
구산동 고인돌을 아스팔트로 몰아간 문화재 보수업계의 농간 (1) | 2022.08.0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