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심히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역사에 대해 자랑을 별로 안 해도 남들 다 알아주는 나라들은 정작 복원에 별 관심 없는 경우가 많더라는 것이다. 
로마 유적이 지금도 카페로 쓰이는 경우도 많고, 
무너진 것 그대로 놔두고 그 폐허를 즐기는 곳도 많다. 
이 반대 현상을 볼 수 있는 곳의 대표가 일본인데, 
일본의 문화유적은 과다한 복원에 복원품 자체가 역사 왜곡 수준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풍조를 우리도 받아 복원된 물건들을 보면 완전히 21세기 신품이다. 
얼마전 고인돌 복원 때 문제가 된 부분도 이런 풍조의 여파로 필자는 생각한다. 
한국과 일본의 이러한 과다한 복원은 필자 보기에 또 다른 역사에 대한 열등감의 표현이다. 
 

 
 
*** 편집자注 *** 
 
저 현상에서 중국도 예외가 되지 않는다. 끝판왕은 실은 중국이다. 
요상하게도 동북아시아 3개국이 이런 움직임을 주도한다는 점이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고학 발굴보고서는 AI 데이터셋 (0) | 2023.02.18 | 
|---|---|
| AI에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알려준다면? (0) | 2023.02.18 | 
| 일을 하면 돈을 줘서 감격했다는 탈북민 (0) | 2023.02.18 | 
| 구한말을 보는 시각: 수탈과 농민 (0) | 2023.02.16 | 
| 망국 전야 (0) | 2023.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