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1-외치 이야기

[외치이야기-38] DNA Phenotyping

by 초야잠필 2025. 2. 1.
반응형

유전정보로 추정한 얼굴 모습. 눈색깔, 피부색깔, 머리카락 색깔도 유전정보로 추정한 것이다. 유전정보에 의한 얼굴복원은 기술적으로 아직 완전하지 않지만 미래에는 어떨지 알 수 없다.


범죄현장에서 범인의 것으로 생각되는 DNA를 얻었다고 생각해보자. 

이 DNA를 분석하면 범인의 얼굴을 알 수 있을까? 

이것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진행한 유전학적 연구와 그 기법을 DNA Phenotyping이라 부른다. 

이 연구가 처음 시작될 때는 잘만하면 DNA 만으로 사람의 얼굴을 상당히 근접하게 추정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었지만, 

아직 그 정도 수준에는 도달해 있지 않다. 

하지만 앞으로는 어떨지 알 수 없고 
현재 보유한 기술만으로도 몇 가지 중요한 외형상의 특징은 DNA 분석으로 맞출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부색, 눈 (홍채) 색, 머리카락 색깔, 머리카락의 성질 (직모인가 곱슬인가) 등이다. 

이러한 것들을 추정하는 것도 앞에서 언급한 몇 개의 SNP을 분석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이 기법은 외치의 DNA에 대해서도 적극 응용되었다. 

외치의 외형에 대한 연구에서 
눈색깔과 머리카락의 색이 갈색이라던가, 

혈액형이 O형이라던가 (이것은 유전학적 결과 외에 혈액형검사로도 이루어지긴 했었다) 하는 특징을 확인했다는 내용은 

모두 앞에서 이야기 한 SNP 연구의 결과를 응용하여 확인 가능했던 것들이다. 

외치의 눈색깔, 머리카락 색깔, 피부색깔은 유전학적 분석의 결과로 추정되었다

 

 

*** previous article ***

 

[외치이야기-37] 왜인은 한반도 남부에서 형성되었는가

 

[외치이야기-37] 왜인은 한반도 남부에서 형성되었는가

외치의 고대 DNA 연구의 이해를 위해 야요이인의 SNP의 결과에 대한 설명을 더 써 본다.필자가 이전에 올렸던 글을 조금 수정하여 다시 등재한다.****최근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나온 기술에 착안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