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우골탑을 쌓기 위해 대학을 증설하라

by 초야잠필 2023. 3. 23.
반응형

우골탑은 대략 6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 사립대학이 농부들의 소판돈을 빨아 들여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부정적으로 사용되던 용어다. 

하지만, 해방이후 우리나라는 우골탑을 쌓는 것도 쉽지 않았다.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우리나라는 해방 직후, 

제대로 된 대학이 거의 없었다. 반도 유일의 대학인 경성제대는 절반 이상이 일본인 학생이었고, 

교육 기회는 조선인의 경우 상급학교로 이어질수록 각종 제한에 직면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조선에서만 교육받아 전문학교로 마치게 되면, 학사학위 없이 디플롬 하나를 받은

고졸 학력, 이것이 실상이었는데, 그 전문학교 졸업생도 조선에는 숫자가 많지 않았다. 

해방이후 국가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 가장 급선무는, 

결국 학사 이상의 대졸자를 빨리 양산해 내야 하는 것이었다. 

미군정시기에 이미, 구제 전문학교는 거의 모두 대학으로 전환되어 4년제 학사를 키워내도록 개편되었다. 

한국의 경우, 우선 초-중-고 교육 자체가 매우 부실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국가의 재원은 이러한 기초교육 쪽에 우선적으로 투입되었다. 일단 고졸생을 만들어 내야 대학생이 늘 것 아니겠는가? 

신생 독립국인 한국이 가진 돈으로는 대학 교육까지 재원을 투자하여 이를 유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한국은 대학교육부터는 국공립대 대신 "사립대학"을 뼈대로 하는 정책으로 방향을 잡아 갔는데, 

대학을 1950년대에 무더기로 증설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립대학"이 생겨났다. 

해방 이후 한국경제에서 "사립대학"이란 빠른 속도로 대학 졸업생을 키워내야 하는 국가적 필요에서 양산된 셈이다. 

사립대학이 그 운영과정에서 많은 착오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국가 교육에 이바지한 공헌 역시 적지 않음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해방이후 대학 수의 변화. 1960년이 되면 국공립대 34, 사립대 47개로 80개를 넘어 있었다. 1945년 대학수는 해방 이후 종전 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전환한 이후의 숫자로, 해방 이전 조선땅에서 학위 수여가 가능한 대학은 경성제대 1개였다. 1960년대 이후에도 한국 대학교육은 사립대학이 주도하였는데, 일차적으로 사립대학이 대학교육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가는 초-중-고 교육에 더 많은 재원을 투자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마찬가지로 대학생 수의 변화. 1945년, 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전환한 후에도 조선의 대학생수는 1만6천 명 정도였는데 1960년에는 10만명을 돌파하였다. 1950년대 대학과 대학생 수의 팽창이 얼마나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특히 그 사이에는 한국전쟁이 끼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국가역량의 막대한 부문이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해도 될 듯하다.

 

 

*** previous article ***  

 

우골탑의 전설

 

 

우골탑의 전설

흔히 한국인의 교육열을 상징하는 전설적 표현의 하나인 이른바 "우골탑"은 한국사의 유구한 전통과 함께 하는 뿌리 깊은 현상이라 볼지 모르겠지만, "우골탑의 역사"는 의외로 짧다. 우골탑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