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채널에서 일본 기후현岐阜県 '우카이'란 습속을 소개한다.
가마우지를 길들여 물고기를 잡는 어법이라는데, 그에 등장하는 한 일본 현지인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목표라 한다.
찾아보니 이를 표방한 공식 사이트가 보인다.
https://www.ukai-gifucity.jp/ukai/
ぎふ長良川の鵜飼
①体調が悪い方、体温37.5℃以上の方は乗船いただけません。 ②大声での会話はご遠慮ください。 以上、ご協力をお願いいたします。 (※今後の感染拡大状況等により、変更となる場合がご
www.ukai-gifucity.jp
이를 보면 우카이 うかい 를 鵜飼 혹은 う飼い 혹은 鵜飼い라 하는 모양이라, 상술하기를 가마우지를 길들여서 여름밤에 횃불을 켜 놓고 은어 따위 물고기를 잡게 하는 일 이라 하며, 그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 또한 그리 부른다 한다. 그 장인은 鵜匠이라고도 하는 모양이다.
鵜라는 한자어는 일상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말이지만, 이 또한 문화권별 차이라, 자전을 보면 발음은 제, 뜻은 사다새 라는데, 이 경우 말할 것도 없이 가마우지를 말한다.
그와 짝을 이루어 합성어를 형성하는 飼 라는 글자는 음은 사, 뜻은 먹이다, 길들이다 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사鵜飼라는 말은 가마우지 길들이기 라는 뜻이다.

길들인 가마우지에다가 끄나풀로 모가지를 매고선 강에다 풀어 은어를 잡게 하는 어법이라는데, 어디선가 본 듯 하거니와, 아마 중국 쪽 아니었나 기억한다. 이런 어법이 아주 오래전 8세기 기록에도 보인다는데
지금 무대는 나가라강 長良川 나가라가와 라는 데다.
기후현 위치를 보면 나고야 바로 북쪽이다.
기후현 · 일본
일본
www.google.com
아무래도 이런 어법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으니 소멸 위기에 처하지만, 현재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정부 지원도 있고, 또한 관광의 시대에 그걸로 명맥을 잇는 사람이 왜 나타나지 않겠는가?
그 장인이라는 사람이 시종 일관 프로그램에 등장하며 동물, 곧 가마우지와의 교감을 강조하는데, 그런 새를 이용해 물고기 사냥을 하려면 보통 인내가 필요하겠는가?
새를 이용한 어로 방식을 한국에서는 본 적이 나는 없는 듯하다.
물론 매사냥이 있지만 말이다.
아래 이 습속에 대한 요연한 정리가 보인다.
https://www.gifucvb.or.jp/ko/01_sightseeing/01_01_01.html
우카이 바로 알기 - 기후 관광 컨벤션 협회
우카이'란 가마우지를 길들여 물고기를 잡는 어법으로 702년 사료에도 나가라강에서 우카이로 물고기를 잡았었다고 기술되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이미 1300년 전에는 이 어법을 사용하고 있었던
www.gifucvb.or.jp
한국에서는 현재 가아무지가 고기란 고기는 다 잡아쳐먹어 수달을 능가하는 환경파괴종 절대 존자로 등극했거니와, 그만큼 물고기가 많아서져 그런 것 아니겠는가?
청계천만 가도 이노무 가마우지가 사냥하는 모습을 자주 보는데, 왜 수중의 절대 파괴자인지를 엿볼 수 있다.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한테 물려죽은 진흥왕의 태자] (3) 고구려를 정벌한 대각찬 구진仇珍 (0) | 2023.10.30 |
---|---|
마왕퇴馬王堆에 미친 나날들 (1) 부의를 말하다 (0) | 2023.10.30 |
조선시대 한양도성 안 마을 (0) | 2023.10.29 |
한양의 궁궐들 (0) | 2023.10.29 |
조선왕조의 중추, 궁궐과 육조거리 (0) | 2023.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