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조 서원 건축이 일대 붐을 이루면서 그 입지를 선택할 적에 키가 된 요소 중 하나로 나는 은행나무를 꼽는다. 성균관이건 서원이건 향교건 그 설립자 겸 재단 이사장은 불변인데 공자가 그 주인공이다. 《장자》에 보면 공자가 가르친 학교 혹은 학단을 행단杏壇이라 표현했다.
이 행杏은 새김이 살구와 은행 두 가진데 조선에서는 은행으로 통일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공자의 가르침을 실천함을 표방하는 모든 시설은 은행나무를 심어 표식을 삼았다.
그렇다면 은행나무가 없으면 어찌 할 것인가? 은행나무 근처에 학교를 세우면 된다. 경북 김천의 섬계서원이 바로 이런 곳이다.
저 은행나무는 수령 오백년을 상회하는 노거수다. 섬계서원은 그 역사가 고작 이백년이다. 답은 나왔다.
은행은 유교 건축에서 이리도 중요한데 아무도 그 심각성을 지적하지 아니한다.
(2015. 12. 20)
***
서원 입지를 선택할 적에 은행나무가 고리가 되었다는 보기다. 조선 순조 연간에 단종복위운동에 휘말려 순절한 충의공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를 배향하고자 세운 섬계서원은 항용 서원 혹은 향교라면 보게 되는 그 전면 은행나무 두 그루가 없다.
대신 본래 은행나무 노거수가 있던 곳을 선택함으로써 그 필요성을 감쇄해 버렸다. 서원이 들어설 당시 이미 저 은행나무는 그때도 노거수였다.
반응형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윤겸 무덤에 신도비가 없는 이유 (0) | 2020.12.22 |
---|---|
장독대의 본향, 명재明齋 윤증尹拯 고택 (0) | 2020.12.21 |
파주 보광사에서(2016) (0) | 2020.12.20 |
느닷없이 달려간 쌍계사 (0) | 2020.12.20 |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출품작(병풍편) (0) | 2020.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