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자곡초등학교 내 계백장군상과 군청 앞 계백장군상
(2016. 8. 13)
***
본래 부여 읍내 지금 성왕 상이 들어선 그 지점 사통팔달하는 자리에 있지 않았나 해서 부여 심상육 선생한테 부탁해서 그 소재를 탐문해서 당시 그가 찍어준 사진들이다.
현장을 아직도 나는 확인하지 못했다.
안내판에 의한 저 조각 내력은 다음과 같다.
제막일 : 1966년 7월 31일
제작지: 윤석창尹錫暢(1936년 5월 2일 생, 조각가)
설치이력 : 이 계백장군동상은 1965. 10 - 1966. 7까지 당시 부여 백제중학교 미술교사 윤석창 선생님(1975년 작고)이 제작하여부여군청 광장에서 전 김종필 국무총리 주관으로 제막식을 성대히 치른 작품으로 1980년대초 논산시로 옮겨와, 1985년경부터 현 구자곡초등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게 되었음.
이를 보면 내가 본 것은 헛것이었나?
반응형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NGGOK-SA Temple, Gimcheon (0) | 2023.08.13 |
---|---|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 석가여래삼존상 (0) | 2023.08.13 |
[공립박물관을 진단한다] (1) 같은 사안을 바라보는 극단의 눈 (0) | 2023.08.12 |
김천 봉곡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0) | 2023.08.12 |
로마가 추앙한 똥배 뱃살 보살 (0) | 2023.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