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일본사 중국사 무시하고 쓴 한국사

by 초야잠필 2024. 4. 13.
반응형

거듭 써보지만, 

여말선초까지의 이른바 사전私田 문제는 한국사에서만 겪던 혼란이 아니다. 

일본, 중국, 다 있었다. 

이런 사전이 새롭게 부상하는 권력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은 덴노가 장원정리령을 끊임없이 반복해서 낸다. 

장원정리령이란 결국 토지제도를 공전에 기반한 

율령체제 시대에 가까운 모습으로 돌리자는 것으로, 

우리로 치자면 과전법 비스무리하게 돌리자는 기도인데

일본사에서 이것은 꽤 많이 시도되었지만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 

필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이렇다. 

사전 문제는 대토지소유자가 토지를 마구 뺏아 농장을 만드니

농민들이 자기 토지를 잃고 궁벽해져 사회위기가 오는 것을

신진사대부들이 사전개혁으로 혁파하고 과전법체제로 혁신하였다, 

이런 삼류 스토리로 포장할 만큼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일단 과전법체제와 사전개혁이 정말 개혁이고 혁명이었는지부터 먼저 따져봐야 하고 

같은 위기상황에서 일본와 중국은 사전을 여전히 가지고 발전했는데

그렇다면 왜 한국만 굳이 사전을 깡그리 다 태워버리고야 개혁이 되었다고 선언해야 했냐 이거다. 

이상하지 않은가? 

같은 위기상황에서 왜 한국만 그 위기타개책이 달랐을까? 

여말선초의 사전개혁 성격 규정이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어쩌면 조선후기의 한국사 몰락은 

사실은 바로 이 사전개혁에서 시작된 것일 수도 있다. 

 

꼬이면 고민없이 때려 엎는 일을 혁명이라 부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