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교육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경우, 식민지 조선에는 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육이 모두 있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이런 착시가 일어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초등교육인 소학교 졸업후 조선에서는 고등보통학교 (고보)에 진학하였는데 이름이 비슷해서인지 이 학교를 대개 고등학교로 인식한다.
특히 해방이후 양정, 경기 고보 등이 모두 고등학교로 바뀌면서 일제시대의 양정고보, 경기고보를 고등학교로 인식한다.
하지만 일제시대 고보는 중학교 과정이고, 고등학교는 따로 있었다.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고보라고 인식하는 이유 중 하나가 한국에는 "고등학교"가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 내지에는 고등학교가 많았다. 이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대학"진학이 되었다.
이 고등학교에 대응하는 조선의 교육기관은 "경성제대 예과"였다. 경성제대 예과는 이름을 보면 대학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이것은 고등학교 과정이다.
이 예과를 졸업하면 고등학교 졸업자격이 인정되어 비로소 "대학"에 진학할수 있었다.
이러한 착시의 또 한 가지는 "전문학교"다. 대개 연전, 보전 등 전문학교들이 해방이후 대학으로 승격이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일제시대 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생각한다.
일제시대 전문학교는 고등학교 과정이다. 대학이 아니다. 대학은 따로 있었다. 이 대학 역시 일본에는 많았다. 한국에는 단 하나 경성제대 하나였다.
따라서 일제시대에는-.
고등학교와 대학은 조선땅에, 경성제대 예과와 본과 하나씩만 있었던 셈이다.
고보는 중학과정, 전문학교는 고교과정인데 둘 다 일본의 구제학교에서는 정식 중학과 고교에 밀리는 차순위 학교들이었다.
조선인은 공부를 계속 하는 경우에도 대개 소학교-고등보통학교-전문학교의 단계를 밟아 올라가는데,
일본인은 소학교-중학교-고등학교 (혹은 대학예과)-대학의 길을 밟아 올라갔다.
해방이후-.
한국의 고보와 전문학교가 대거 고등학교와 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일제말기 고보는 중학으로 바뀌었다) 일제시대에 고보와 전문학교를 나온 분들도 덩달아 학력인플레가 일어났다.
물론 일제시대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해방이후 중학교 고등학교보다는 약간 격이 높았는데, 그렇다고 해도 중학교는 중학교, 고등학교는 고등학교였다.
일제시대 중학교가 아무리 격이 높다 한들 졸업 후 대학 진학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중학과 동격인 고보역시 마찬가지였으므로 일제시대 고보는 어디까지나 고등학교가 아니라 중학이다.
일제시대 구제 학제의 고보와 전문학교를 우리가 각각 고등학교와 대학으로 착각하면서 한국은 식민지시대 교육에서 실제로 받던 교육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있던 것으로 착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확히는 일제시대. 조선땅에는 고등학교와 대학이 한개씩이었다.
나머지는 모두 고등학교 학력 인정기관 (전문학교) 이하였다고 보는게 맞다.
일제시대 교육에 대한 이해는 구제학제에 대한 이해부터 선행되어야 맞다.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시대 전문학교 및 학생 수 (0) | 2023.05.27 |
---|---|
식민지시대 연전과 보전: 고졸자 그러나 후순위 (0) | 2023.05.27 |
한국사: 서바이벌의 제왕 (0) | 2023.05.27 |
젤렌스키와 이승만 (0) | 2023.05.26 |
1940년의 대학설립 (0) | 2023.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