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자작나무 껍질에서 뽑아낸 기름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1. 24.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uHpYwZ71jXg

 
이 동영상은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서 기름을 짜내는 방법을 소개한 것으로 그 방식은 실로 간단해서 

깡통 두 개와 장작불로 충분하다. 

큰 깡통에다 자작나무 껍질을 잔뜩 채우고, 그 한쪽에다가 구멍을 뚫고서는 작은 깡통을 잇대어 땅을 파고 그 작은 깡통을 아래로 두고,

위로 노출된 큰 깡통 위로 두세 시간 장작불을 피우면 자작나무 껍질에서 흘러내린 기름이 아래 작은 깡통으로 흘러내리는 구조다. 

위 큰 깡통 속 자작나무 껍질은 완전히 타서, 기름기를 빼낸 재에 지나지 않아 푸석푸석 바스라지니 버린다. 

자작나무는 흔히 그것이 탈 때 자작자작하는 소리를 낸다 해서 그리 일컫는다 하듯이 그만큼 그 이파리에는 기름기가 많다는 뜻이니,

그에다가 열을 가해 기름만 빼낸다는 것인데 저 실험에서 보듯이 꽤 많은 기름을 짜낸다. 

그렇게 짜낸 기름은 검은 빛을 띠는데, 그 용도는 목재 겉면이나 금속에다 발라 벌레가 먹거나 녹이 슴을 방지하는 데 쓴다고 한다. 
 

자작나무 껍질. 몽골 노용올 부근 자작나무로 기억한다.

 
우리가 이 자작나무를 주시해야 하는 까닭은 저런 방식을 한반도에서 구사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신라 무덤에서는 자작나무 껍질을 활용한 여러 공예품이 나온다. 

그 자작나무는 내 추산으로 한반도 북쪽 함경도 동해안 쪽에서 왔다. 왜? 그쪽은 신라 영역인 까닭이다. 

이 동영상은 기호철 선생이 소개했으니 오늘 아침 소개한 구석기시대 자작나무 껌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자료다. 

흥미로운 자료라 따로 빼내서 소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