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전기도 없고 드라마도 없던 조선시대 사람들은 밥만 먹고 잤다

by taeshik.kim 2023. 7. 28.
반응형

경국대전經國大典 권1 이전吏典은 육조 중에서도 지금의 행안부나 인사혁신처 업무를 담당하니, 관리들 인사고과 제도 역시 이 부서가 담당이었다.

관리에 대한 근무실태 전반 규정과 점검을 고과考課라 했으니 이 항목 첫 구절은 다음과 같다.

모든 관청 관리는 묘시卯時 (오전 5~7시) 에 출근했다가 유시酉時 (17~19시)에 퇴근한다. [해가 짧을 때는 진시辰時 (오전 7~9시)에 출근했다가 신시 (15~17시)에 퇴근한다.]




저에서 요즘의 이른바 유연근무제 탄력근무제를 본다.

겨울은 아무래도 해가 짧으니 여름과 근무시간이 같을 수는 없었다.

다만 요즘은 출퇴근 시간이 달라도 근무 총량 시간은 같지만 조선시대는 겨울철엔 아예 근무시간조차 단축했음을 본다.

또 분초까지 따지는 요즘이야 유도리 시간이 두 시간이나 된다는 점이 언뜻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요새 시계 기준으로 오전 5~7시 사이에 출근도장 찍으면 됐다.

전날 기생집에서 거나하게 한 잔 빨았다면? 뭐 지각하고 경위서 쓰고 쿠사리 찐밥 먹었겠지만 것도 평소 짜웅 잘해 놓으면 문제없이 지나감은 인지상정이다.

또 하나 조선시대 출근시간이 왜 저리 빠르냐 할 테지만 웃기는 소리라 웬간한 사람은 저 시간에 다 깼다.

왜?

당시는 전기도 없고 테레비도 없고 올나이트 주점도 없어 집구석에 들어가면 저녁 먹고 자빠잤다. 드라마가 없으니 할 일 있겠는가?

요새 기준 초저녁 잠들면 다 새벽 두세시면 깬다.

저 바로 뒤 이어지는 구절.

일이 바쁜 관청은 퇴근 후 한 사람이 남아서 수직원直宿員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종묘서宗廟署·문소전文昭殿·활인서活人署의 관리 및 사직서社稷署, 돈과 양곡을 다루는 모든 관청에서는 모임이 있을 경우에도 한 사람만은 참가시키지 않는다. [대체로 모든 관청의 수직원에 대해서는 이조吏曹의 수직당하관이 초저녁에 수표한 다음에 밀봉한 것을 올리며 또 승정원承政院에서 통행표신을 받아다가 순찰하고<수직에서 빠진 자는 파면시켜 내쫓는다> 이튿날 아침에 도로 바친다.]

야간 연장근무를 말한다. 그렇다고 그가 밤을 샌 것이 아니라 숙직자는 따로 있었다. 그가 나올 때까지 연장 근무한단 뜻이다.  

그 다음 구절은 아마도 돈을 만지는 부서라 혼자 남겨 근무케 하지 않는다는 뜻 아닌가 한다. 빼돌리기 때문이지 뭐가 있겠는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