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조선후기의 선물과 부조금

by 초야잠필 2024. 11. 4.
반응형




이미 많은 분이 밝힌 것으로 아는데

조선후기에는 사대부 사이에 선물증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고 

이게 그냥 선물 정도가 아니라 집안 살림이 이 선물로 돌아갈 정도였다. 

그러다 보니 누구로부터 뭐를 받고 하는 것을 꼼꼼이 적어두고

또 그 반대급부로 이쪽도 그쪽에 뭔가 상응하는 선물을 보내는 것이다. 

이 선물이 가계에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커서 

아예 이를 선물경제라고 이름 붙인 연구자 분도 있는 것으로 안다. 

이것 뭔가와 많이 닮지 않았는가? 

바로 지금까지도 남아 있는 부조금이다. 

경조사가 있을 때 찾아가 부조금을 내고 

그 부조금 내역을 꼼꼼이 적어 두었다가 반대로 가서 상응한 금액을 내는 것. 

우리나라 부조금을 유심히 보면 경조사를 축하한다는 정도를 넘어 

아예 서로 돌아가며 계를 타는 모양에 더 가까운 것 아닌가 싶을 때도 있다. 

그 부조금 내력을 적은 장부가 바로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주고 받았다는 선물 장부와 같은 것이 아닐까. 

필자는 우리나라 부조금의 기원은 뭔가 조선후기 선물증여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생각을 하는데 

뭐 구체적인 내력을 파고 든 적은 없다. 


*** editor"s note ***



증여에 기반한 선물경제를 강조한 마르셀 모스




이 선물경제를 이론으로 받침한 이가 프랑스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 마르셀 모스(Marcel Mauss, 1872년 5월 10일 ~ 1950년 2월 10일)다.

그의 증여론이 완역되어 소개되면서 아연 전근대 한국경제를 논할 때 애용하는 이론인데

서양보단 실은 한국사회를 잘 설명한다.

모스는 자살론과 사회분업론으로 유명한 뒤르켕 조카다.

이 증여에 기반하는 사회는 본질적으로 상품화폐경제와 거리가 멀다.


상품화폐경제가 작동했다는 조선 후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