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조선후기의 팔공산과 시화첩 '수안전모첩'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11. 23.
반응형

국학진흥원, 조선 시대 팔공산 경관 담은 '수안전모첩' 발견

송고시간 | 2019-11-22 19:50

가산산성·동화사 등 옛 모습 감상할 수 있어


수안전모첩 중 동화도.



1800년대 후반에 팔공산 몇 장면을 담은 시화첩詩畵帖인 《수안전모첩》이 발견됐단다. 우리 공장 보도에 의하면, 경북 안동에 근거지를 둔 한국국학진흥원이 근자 '영남 선비들의 여행'이라는 기획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이 시화첩은 조선 말기 달성 하빈에 살던 선비 화가 박승동朴昇東이 1879년 4월에 9박 10일 동안 팔공산 일대를 여행하며 남긴 것이라 한다. 


시화첩은 가로 19.5㎝×세로 28.5㎝ 크기에 표지 포함 모두 14쪽이라는데..


이 화첩에는 시 37편에다가 선사도, 천석재도, 동화도, 파계도, 가산성전도라는 제목이 붙은 그림 5점이 수록됐다는데, 우리 공장 보도를 통해서는 이 중에서도 당시 가산성을 모습을 그린 가산성전도架山城前圖와 동화사 일대 풍경을 정리한 동화도桐華圖 2점이 발행됐다. 


수안전모첩 중 가산성전도


애초 가산성전도라 해서, 全圖 아닐까도 했다가 실물 그림의 묵서를 보니 前圖라, 살피니 가산성 일대 풍광과 그 대략의 모습을 성벽 앞쪽 시점에서 그린 것이다. 이 가산성은 내가 현지 사정에 밝지 아니해서 지금의 그것과 대비가 어렵거니와, 적어도 이 그림만을 보면 내성內城 외성外城 말고도 제3의 성곽 시설을 갖춘 듯이 보인다. 


제목 아래에는 이렇다 할 설명이 없는데 반해서 동화도桐華圖에는 제목 아래에 이곳의 주요한 전각을 묵서로 따로 표기했으니 살피니, 금당金堂 부도浮屠 염불念佛 내원內院이 그것이다. 금당이란 말할 것도 없이 대웅전일 것이로대, 부도가 승탑을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석탑을 지칭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문맥으로 보아 석탑이다. 염불은 염불당일 텐데, 이 경우 염불당이 지금의 어느 전각인지 아리까리하다. 내원은 또 어떤 곳인지, 동화사는 훌러덩훌러덩 두어번 날아다녀서 매칭이 쉽지는 않다. 


이 시화첩 제목 '수안전모첩'은 한자를 병기하지 아니해서 무슨 뜻인지 감을 잡기 힘들다. 


*** 


작성 기자를 통해 한국국학진흥원 보도자료 원문을 입수하니 그네들이 배포한 원문은 다음과 같다. 


‘가산산성’이 그려진 《수안전모첩》 발굴 

-시와 그림, 글씨에 담긴 팔공산의 인문 경관-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조현재)은 최근 ‘영남 선비들의 여행’이라는 기획전을 준비하면서 《수안전모첩》이란 귀중한 시화첩을 찾아냈다. 책자의 이름은 ‘눈에 들어오는 대로 묘사하여 그리다’는 뜻이다. 크기는 가로 19.5cm×세로 28.5cm이며, 면수는 표지를 포함하여 모두 14면이다. 시 작품이 37편 실려 있으며, 그림은 〈선사도〉·〈천석재도〉·〈동화도〉·〈파계도〉·〈가산성전도〉 등 5점이다.     


열흘 동안 이루어진 팔공산의 여행 기록물 

이 책자는 조선말기 달성 하빈에 살던 선비 화가인 박승동(朴昇東)이 1879년 4월 친지들과 9박 10일 간의 팔공산 여행을 하면서 남긴 기행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와 그림, 글씨가 한데 어우러져 영남지역 선비들의 풍류 양상과 예술정신의 일면을 보여주며, 특히 그림 5점은 140년 전 동화사·파계사·가산산성 등의 모습에 대한 기록화적 성격을 지닌다. 아울러 37편의 시 작품에는 선비와 승려, 다동(茶童)이 참석하여 기약과 석별을 표현하는 등 기행시로서의 독특한 문학적 양상이 돋보인다.  


박승동은 음력 4월 3일부터 4월 12일 까지 열흘에 거쳐 친지 및 벗과 더불어 달성 및 팔공산의 동화사, 파계사, 가산산성 등을 여행했다. 자신이 살던 묘골[대구 달성 하빈]에서 사촌 동생인 박성동과 함께 출발하여, 도중에 지인을 방문하고 벗들과 만나면서 동행인이 늘어났다. 동화사의 말사인 내원암에서 여행 기념으로 제명록(題名錄)을 작성할 때는 무려 11인이 참석했다.   


책자의 주인공은 명가 출신의 문인 화가 -  박승동

시화첩의 주인은 박승동(朴昇東, 1847~1922)이다. 그는 달성 하빈의 묘골 출신으로,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처형된 사육신 박팽년의 후손이다. 박승동은 젊어서부터 시문에 능했을 뿐 아니라 영남 출신의 선비로서는 드물게도 그림에 뛰어난 소질이 있었다. 그의 집에는 전래하는 옛날 그림이 많았는데 조선중기 화원 출신의 함윤덕, 윤인걸 등의 작품 뿐만 아니라, 자신의 선조인 박팽년이 그린 6폭의 산수 그림도 소장하고 있었다. 그는 산수를 그릴 때 운필에 힘이 넘쳐야 오묘한 경지에 들어갈 수 있으며, 조화에 부합되어 도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저술로는 『미강문집』 외에도 관혼상제에 관한 제도와 절차를 모아 『사례속집』이란 예서(禮書)를 남겼다.     


수묵 담채화에 묘사된 동화사와 가산산성의 모습

동화사와 파계사를 중심 배경으로 그린 〈동화도〉와 〈파계도〉의 경우는, 구름이 피어오르는 듯한 층층의 기암절벽이 매우 인상적이다. 화면의 구성법이 공간의 여백이 많으며 필묵의 사용 방식이 빠르고 힘찬 필선을 구사하였다. 그림의 하단에 배치된 나무다리와 그 위의 유람객이 담소를 나누며 무언가를 가리키는 모습은 수묵 산수화에서 자주 이용되는 기법이다. 전체적으로 산수 애호에 바탕한 작가의 풍류 정신이 화면에 그대로 표출되어 풍부한 정취와 여유로운 분위기가 묻어난다.  


가산산성의 전경을 그린〈가산성전도〉는 기록화로서의 사료적 가치가 요구된다. 원형 구도 속에 담아낸 그림에는 조선 인조, 숙종, 영조 시기에 각각 축성된 내성과 외성, 중성에 대한 묘사가 진경 산수화풍을 연상시킨다. 산성의 주요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형태와 질감의 표현에서 당대에 유행하던 회화식 지도의 양식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점은 이 그림이 회화사적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140년 전의 가산산성의 규모를 복원할 수 있는 사실적 자료로서의 활용가치도 높음을 입증한다. 


*** 이 보도자료에도 수안전모첩 한자 표기가 없는데 눈에 들어오는 대로 그대로 그린다는 뜻 풀이에 의한다면 隨眼傳模帖이 아닌가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