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줄과 간격을 맞추기 위한 선간지線間紙

by taeshik.kim 2020. 11. 15.
반응형


전통시대 인쇄문화 주종은 직접 손으로 베끼는 필사筆寫다. 붓으로 열라 베끼니 손모가지 나가고 것도 오십견 오면 불가능하다.

금속활자나 목판인쇄? 웃기고 있네. 돈 열나 먹는 하마라 그거 하나 만들다 집안 거덜난다.

책값? 졸라 비싸다.

결국 빌려다가 열나 베낄 수밖에 없는데 드라마나 영화 보면 열나 속도 빠르지만 실제 하루 몇 글자 베끼지도 못했다.

필사는 고역 중의 고역이었다.

그건 그렇고 다들 놀랜다. 이 친구들은 베낀 것도 언뜻 활자와 구분이 쉽지 않아 무엇보다 글자가 단 한 치 흐트러짐도 없고 무엇보다 오와 열이 딱딱 맞아 삐뚤어진 글자 하나 없다.

그네들이 천부적 감각이 있어서?

좃까.

그들이라고 무슨 용가리 통뼈라고 자를 잰듯이 저리 했겠는가?

다 사기다.

밑창에 저런 걸 다 깔고 베꼈다. 그래서 딱딱 맞는 것이다.

저걸 선간지라 한다.

책을 필사할 때, 줄과 간격을 맞추기 위해 종이 사이에 끼워 사용하던 것으로 밑줄이나 격자를 그린 밑본 종이다.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