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를 비롯한 한국고대사회에 광범위한 근친혼은 그런 생각을 퍼뜨린 주범 중 하나가 중국에서 비롯하는 유가 논리였지만 그런 중국도 의외로 근친혼이 광범위했으니 이들한테 근친의 기준은 같은 성씨였다.
바로 이 틈바구니를 근친혼이 예리하게 파고 들거니와 고모류 자식을 받아들이는 일이 한 예다. 부계 중심으로는 명백히 다른 성씨지만 생물학적으로는 명백히 같은 피다. 그럼에도 성씨가 다르다는 이유로 근친이라는 혐의를 피해간 것이다.
신라는 근친혼이라 하지만 이 근친혼은 배우자는 같은 부족에서 취하지 않는다는 인류학의 오랜 발견을 언뜻 배신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른바 족내혼族內婚에 대한 족외혼族外婚이다.
한데 화랑세기가 제공하는 신라사회는 저 오랜 발견을 단 한 치도 배신하지 않는다.
근친혼과 족외혼은 명백히 상극인 듯 보인다. 하지만 놀라운 점은 극심한 근친혼이 족외혼과는 별개로 완벽히 작동한다는 점을 화랑세기는 증명한다.
신라는 어떻게 족외혼과 근친혼을 조화했을까? 다시 말해 극심한 근친혼을 유지하면서도 시종일관 족외혼을 유지했을까?
모계 혈통의 발명이었다. 왕가를 기준으로 할 적에 신라는 왕비를 공급하는 혈통을 끊임없이 발명해갔다. 이 모계로만 전승하는 왕비 공급 혈통을 화랑세기는 인통姻統이라 했다.
이 인통으로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양대 혈통으로 조문국 왕실에서 비롯하는 진골정통眞骨正統이 있고 왜 왕실에서 비롯하는 대원신통大元神統이 있다. 이 둘은 엄마 딸 손녀로 계승한다. 남자는 1대에 한해 그 혈통을 계승한다지만 솔까 남자는 관심이 없다.
보다시피 이 인통은 철저히 신라사회 밖에 위치한다. 이는 결국 철저한 족외혼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임을 간파한다.
이렇게 됨으로써 신라는 시종일관 족외혼을 유지하게 된 것이다.
유의할 것은 그런 인통도 복수화한다는 점이다. 저 인통 중 진골정통이 상대적으로 오래 되었으니 그걸 법제화한 이는 미추왕이었다고 한다. 미추 이전엔 족외혼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했는지는 알 순 없지만, 다른 인근 왕국에서 틀림없이 왕비를 구했을 것이다.
조문국 정벌을 계기로 미추가 앞으로는 조문국 후손이 아니면 왕비로 들이지 마라 법으로 못을 박은 것이다.
그런 법령 혹은 관습이 내물 실성 자비마립간 즈음해 요동을 친다. 倭 왕실이 뛰어든 것이다. 고리는 미사흔이었다.
오랜 왜 인질 생활에서 왜 왕실 공주를 농락한 그는 이 공주를 데리고 귀국했다. 이 공주한테서 씨가 퍼져나갔으니 이들이 훗날 진골정통에 맞서는 일대 세력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인통 역시 고정한 것이 아닌 역사적이었다.
인통은 모계로만 따지고, 그 모계는 철저히 신라사회 밖에 뿌리가 있었으니 언제나 신라 왕가는 족외혼이었다.
근친혼과 족외혼이 어찌 공생하는지를 보이는 위대한 보기다.
***
이는 진흥과 숙명의 혼인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보다시피 진흥은 어머니 지소의 강요에 의해 같은 어머니에다가 아버지만 다른 숙명과 혼인해서 정숙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지소가 이렇게 자기 딸을 배필로 정한 까닭은 그 자신이 진골정통으로서, 그 혈통을 물려받은 딸 숙명으로 하여금 왕비 자리를 잇기 위함이었다.
***
족내혼과 족외혼은 간단히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1. Endogamy 족내혼 族內婚
- 부족 내부에서 배필을 구한다.
- 따라서 근친혼 consanguineous marriage 이 많다.
2. Exogamy 족외혼 族外婚
- 부족 외부에서 배필을 구한다. Ex. 동성동본 혼인금지
- 근친혼 금지
'역사문화 이모저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기에 대한 맹세와 운율 (0) | 2020.11.09 |
---|---|
도전받는 근친혼, 익숙에 대한 반란 (4) | 2020.11.08 |
[스핀오프] 동륜의 태자책봉, 삼국사기의 이례異例 (0) | 2020.11.07 |
무한반복하는 한글창제 신화 (1) | 2020.11.07 |
[개한테 물려죽은 진흥왕의 태자] (2) 폐위되는 왕비 (0) | 2020.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