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03 10:16:26
춘천 중도에서 고구려 귀고리 출토(종합)
삼국시대 석곽묘서 발견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레고랜드 예정지인 춘천 중도에서 고구려 금귀고리 1점이 발견됐다.
중도 유적 5개 합동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 중 한 곳인 예맥문화재연구원(원장 정연우)은 중도 유적에 대한 2차 조사에서 삼국 시대 소형 돌덧널무덤(石槨墓) 1기를 확인하고, 이에서 금제 굵은고리 귀고리(金製太環耳飾) 1점을 수습했다고 3일 밝혔다.
이 무덤은 주축 방향을 북동-남서쪽으로 두었다. 마와 같은 땅을 깊이 가는 작물 재배 영향으로 덮개돌과 상단 벽석 일부가 교란돼 제위치를 잃었지만 시신과 부장품을 넣는 공간인 묘광(墓壙)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났다. 조사 결과 묘광은 길이 320㎝, 너비 260㎝ 정도다.
귀고리는 묘광 북쪽에서 출토됐다. 중심고리(主環)와 노는고리(遊環), 연결고리, 구체(球體·샛장식이라고도 하며 중간식<中間飾>이라고도 한다), 원판 모양 장식(圓板形裝飾), 추 모양 장식(錘形垂下飾)으로 구성됐다.
전체 길이는 4.5㎝ 정도에 중심고리는 지름 약 1.8㎝, 너비 약 1.4㎝의 원형이며 노는고리는 길이 약 1.4㎝, 너비 약 2.1㎝의 타원형이다.
연결고리에서 추 모양 장식까지 길이는 약 2.8㎝이다. 구체는 모두 14개 작은 고리인 소환(小環)을 연결해 붙였으며, 위아래로 두꺼운 고리를 땜으로 접합해 연결고리와 원판 모양 장식을 붙였다.
이 귀고리는 고구려 색채가 강한 유물로 판단된다.
정연우 원장은 "평양시 대성구역 안학동 귀고리, 청원 상봉리 귀고리와 유사하지만 구체와 원판 모양 장식, 추 모양 장식이 좀 더 커지고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점 등으로 미루어 이들보다는 다소 늦은 6세기 무렵 제품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 무덤은 묘광에 돌덧널을 만든 다음 묘광과 돌덧널 사이는 깬돌로 뒤채움을 했다. 덧널 내부는 크기가 길이 190㎝에 너비 60~65㎝, 깊이 25~73㎝ 정도다.
비교적 잘 다듬은 깬돌을 이용해 양쪽 긴 벽은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병행해 만들었다. 남쪽 벽은 판석 두 장을 세워쌓기했으며, 북단벽은 교란된 상태라 정확히 축조 방식을 알기는 힘든 상황에서 벽석 1장만 남았다.
바닥은 지름 5~7㎝ 안팎인 강돌을 이용해 시신을 올려놓는 받침대인 시상(屍床)을 만들었다. 남쪽 바닥에서는 다리뼈 일부가 거의 흙으로 변한 상태로 확인됐다.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는 지점 섬인 중도는 레고랜드 조성을 앞두고 실시한 1차 발굴조사에서는 총 1천400여 기에 달하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과 주거지 등이 확인됐다.
지난 3월 시작한 2차 발굴조사에서도 청동기시대 집터와 고인돌, 삼국시대 초기 집터 등과 더불어 삼국시대 이후 밭 유적이 넓은 범위에 걸쳐 확인돼 조사 중이라고 문화재청은 밝혔다.
taeshik@yna.co.kr
(끝)
***
이 중도 유적은 레고랜드 개발에 즈음한 발굴과정에서 적지 않은 논란이 있었으니, 이는 한국문화재사 한 챕터를 장식해야 할 사건이다.
나는 아직은 때가 아니라 해서 그 정리는 미뤘지만, 이것도 어차피 놔 두면 아무도 하지 않고 하지 못할 일이라, 나 역시 기억에 조금은 더 뚜렷한 지금 시점에서 손을 대야 한다는 압박은 있다.
개중 한 일화로 이 사건은 작지만 이른바 학술이라는 관점에서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고 파악해 상기한다.
저와 관련한 별도 짧은 글을 나는 이 블로그에서 두 차례 전재한 바 있으니 아래가 그것이다.
중도 출토 귀걸이는 귀걸이? 목걸이 펜던트?
춘천 중도가 출토한 고구려 금귀고리?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본 박경식] (1) 스승, 죽어야 눈물을 받는 존재 (0) | 2023.06.24 |
---|---|
어느 것도 가능하단 것이 없었다, 어느 우직한 함안군 학예사가 달린 길 (0) | 2023.06.24 |
합성을 합성이라 부르지도 못하는 부여 능산리 사지寺址 (0) | 2023.06.08 |
《직설 무령왕릉 추보》 (2) 독자가 없는 텍스트에서 찾은 민족주체성 (0) | 2023.06.08 |
《직설 무령왕릉 추보》(1) 박물관 뜰의 쌀가마니 (0) | 2023.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