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과 일본- 근세 지식인 사회의 구조

by 초야잠필 2024. 9. 7.
반응형

이건 필자가 이 블로그에서 여러 차례 주장한 바 있는데, 

현대 한국과 일본의 학계 수준차는 

단순히 20세기 이후 한국이 식민지도 떨어지면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1700년대 이후, 

18세기 부터 이미 한국과 일본은 지식인 사회의 수준은 

현저하게 벌어지기 시작했고, 

그 결과가 지금까지도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현대학계는 

서구학계의 영향을 받아 성립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한국은 조선후기 지식인 사회의 구조, 

일본은 에도시대 지식인 사회의 구조의 직접적인 영향력 하에 있다. 

가장 두드러진 예가 

한국학계에세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학자의 사회참여의식"과 

"자리 좀 잡았다 싶으면 정치판으로 뛰어드는 풍토"다. 

이 행태의 기원을 찾아보면 간단하게 찾을 수 있다. 

조선후기에는 공부 좀 한다고 하다가, 

느닷없이 정계에 뛰어들어 정쟁에 몰두하다가는, 

늘그막에는 다시 학자 흉내를 내며

죽고나서는 대학자로 분식하여 목판만 만장 가까이 판각한 문집을 낸 사람도 있다. 

현대 한국 학계의 석학의 선구라 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 양국 학계의 수준차는 

바다 건너 저쪽이 요즘 하도 내리막을 달리는 통에 그 격차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는데, 

여전히 학문을 대하는 자세에 있어서는 

대단히 미안한 이야기지만 바다 건너 저쪽 친구들에게 배워야 할 부분이 많다. 

 

학자는 현실에 적극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사르트르의 주장은 타당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