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한문법 강좌] 사역은 문맥이 결정하기도 한다

by taeshik.kim 2021. 1. 15.
반응형

北宋시대 정치와 문단 양쪽에서 이름을 날린 인물로 사마광司馬光이 있으니 그의 저술로 《온공속시화溫公續詩話》라는 詩話가 1종 있다. 시화란 시와 관련한 일화 모음집 정도로 보면 된다. 분량이 얼마되지 않는 이 시화가 수록한 일화 중 하나로 다음이 있다.


초학기



唐明皇以諸王從學,命集賢院學士徐堅等討集故事,兼前世文詞,撰《初學記》。劉中山子儀愛其書,曰:〔非止初學,可為終身記。〕

이 문장 대의를 추리면 唐明皇以諸王從學,블라블라하여 撰 《初學記》케 했다가 된다.


초학기



한데 문제는 “唐明皇以諸王從學”이라는 구절의 해석이다. 이를 액면 그대로 해석하면 자칫 당 명황(당 현종)이 諸王으로써 배웠다가 된다. 하지만 이런 해석은 말이 되지 않는다. 자기가 배우겠다고 신하들한테 참고서를 쓰게 했다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어조사 以는 실상 使의 뜻이 있다. 이를 일반 평서문으로 해석했다가는 오해하기 십상이다. 이른바 이는 사역 평서문이라 누구한테 시켜서 무엇을 하게 하다는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한문이 지랄 같은 점 중 하나가 사역임에도 使나 令, 命과 같은 동사를 쓰지 않고 문맥으로 통하게 한다는 것이다.


徐堅等奉勅撰..다시 말해 서견 등이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편찬했다는 말이다.



내가 이 말을 하는 까닭은 근자에 이 시화를 번역한 사람이 이를 “당나라 현종이 諸王 시절 학문을 할 때”라고 옮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옮겨야 한다.

“당 명황(현종)이 여러 아들을 가르치고자 해서 집현원 학사인 서견 등에게 명령하여 고사를 토론하고 모으는 한편 앞선 시대 시문을 곁들여서 초학기를 편찬케 했다. 중산 유자의가 그 책을 매우 아껴 말하기를 ‘처음 배울 때만이 아니라 일생 동안 담을 만하다’고 했다.”

(2014. 1. 1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