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행장을 믿니? 지나가는 소를 믿으리라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2. 18.
반응형

 
[진실]

역사학 논문에서 한 인물을 논할 때 그 행장에 따라 나열하는 경우가 십중팔구다. 그래선 안 된다.

행장에서 절대 믿어선 안 되는 몇 가지가 있다.

첫째, 가난해서 일단사일표음 했다. 행장까지 쓰일 인물이면 요새로 치면 최소한 중상류층 이상이다.

둘째, 벼슬에 뜻이 없었다. 그런 인물 문집에 실린 부나 표는 과거 시험 답안지다. 90% 이상은 노력했으나 떨어진 것이다.

셋째, 그 선대는 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렸고, 사화 때는 화를 입거나 은거했으며, 혼란한 시기에는 과거에 합격했으나 파방되었다.

이 조건 모두 갖춘 가문은 단언컨대 한 집도 없다.

 
*** related article ***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3대 새빨간 거짓말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3대 새빨간 거짓말

1. 가난해서 송곳 꽂을 땅도 없고 일단사일표음한다. (문집 간행할 정도면 요즘으로 따지면 100억 이상 자산가는 됨) 2. 벼슬에 뜻이 없다. (문집에 낙방한 과거시험 답안지 수두룩) 3. 병에 시달려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