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1993년 보고된 참굴큰입흡충이 400년전 조선시대 미라서 검출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3. 23.
반응형

서울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가 바로 앞서 조선시대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이라는 기생충을 확인한 사실을 소개했거니와, 언론에서는 이 소식을 아마도 내가 가장 먼저 소개한 기억이 있어, 당시 기사를 찾아 전재한다. 


그 내력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에서 어느 정도 충분히 설명되리라 본다. 


참굴큰입흡충이 드러난 400년전 조선시대 경남 하동 미라.



2006.10.29 07:00:06


'93년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전 미라서 검출

서울의대 채종일 교수팀 참굴큰입흡충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1993년에야 존재가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됐다.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채종일 교수는 단국대의대 서민 교수,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 등과 함께 올해 4월6일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한국남부발전 하동화력 건설현장에서 발견, 수습된 여성 미라에 대해 기생충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미라에서 채취한 대변과 장 내용물에서 기생충을 관찰한 결과 선충란은 관찰되지 않은 대신, 참굴큰입흡충과 이형흡충류(Heterophyid), 그리고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충란이 발견됐다.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한국남부발전 하동화력 건설현장에서 발견, 수습된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 기생충.



이 중 참굴큰입흡충은 1993년에야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되고 세계학회에 보고된 기생충이다.


채종일 교수는 "참굴큰입흡충은 93년 이후 진행된 감염실태 조사에서 유행한 지역이 전남 신안군 일대임을 확인했으며 금번 미라가 발견된 하동군 일대는 이 기생충의 주 분포지에 해당하지 않았다"면서 "이런 참굴큰입흡충이 무려 400여 년 전의 미라에서 확인됐다는 점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미라가 발견된 지역이 반경 수십 ㎞ 이내에 섬진강과 남해를 접한 지역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이 일대 주민들은 민물과 바닷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많이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채종일 교수



실제 미라 기생충 검사 결과 자연산 굴(oyster)과 관계 있는 참굴큰입흡충, 민물생선과 관련있는 간흡충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고 채 교수는 덧붙였다.


다만 미라 발견 지역인 하동은 지금은 자연산 굴이 거의 생산되지 않지만 조선초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에 의하면 특산물로 굴이 기록될 정도로 조선시대에는 굴 생산이 많았던 곳이다.


이런 문헌 기록이 400년 전 미라 분석을 통해 증명됐으며 아울러 "조선시대에는 참굴큰입흡충이 지금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고 채 교수는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