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섬서성 예국芮国 군주 부인 무덤[상보]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9. 8.
반응형
M3호묘 묘광

 
징성澄城 유가와刘家洼 예국 유지芮国遗址에서 그 군국 부인国君夫人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 발견, 부인은 진국秦国 출신인 듯

출처는 综合新闻 华商网-华商报 2025-09-03 07:09:47이다. 


최근 《고고와 문물考古与文物》에서 발표한 《섬서 징성 유가와 예국 유지 동Ⅰ구 M3 발굴 간보 陕西澄城刘家洼芮国遗址东Ⅰ区M3发掘简报》에 따르면, 징성 유가와 예국 유지 동Ⅰ구 M3 묘주는 아마도 예국군의 부인이며, 그녀는 진나라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 한다.

류가와 예국 유적은 섬서성 징성현澄城县 왕장진王庄镇 류가와촌刘家洼村 서쪽 1.5km 지점에 위치하며, 남쪽은 징성현성澄城县城에서 약 22km, 북동쪽은 한성량대촌韩城梁带村 예국 유적芮国遗址에서 약 60km 떨어져 있다.

2016년 11월 말, 해당 유적 무덤이 도굴로 인해 발견되었다.

2017년 초, 공동 고고학 팀은 해당 유적을 체계적으로 조사, 탐사 및 발굴하여 성벽, 참호, 대형 흙 다지기 기초, 고급 묘지 등의 유적을 발견했다.

유적 규모와 유물 등급을 통해 이 유적이 춘추 초중기 예국 후기의 한 도읍지임을 유추할 수 있다.
 

네 벽면에 마련한 감실과 그 안에서 드러난 여성 인골들



동I구 묘지东I区墓地는 이 유적에서 발견된 네 개 묘지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두 개 묘도墓道가 있는 '中'자형 대묘 2기를 포함하며, 두 묘는 동서로 나란히 있다.

묘지 규모와 유물 등급으로 볼 때, 이 두 묘지는 춘추 초중기 시기의 예국芮国의 국군国君[군주] 묘지일 것이다.

'中'자형 무덤 2기 가운데 무묘도无墓道 대묘大墓 M3 하나가 있는데, 이 무덤은 도난당했지만 무덤 위치가 중요하고 규모가 크며 형식이 특수하고 [도굴되었음에도] 여전히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M3는 남북 장축 방향이며 직사각형 수직 흙 구덩이 무덤[남북향 장방형 수혈 토갱묘南北向长方形竖穴土坑墓]으로, 무덤 광구圹口[무덤을 만들기 위해서 판 움] 바닥은 기본적으로 크기가 동일하며, 무덤 바닥 면적은 약 33.4제곱미터, 무덤 깊이는 11.5미터다.

이 무덤은 도굴 손길이 곽실槨室까지 내려갔다.

무덤 벽 네 벽면은 무덤 입구에서 약 8미터 깊이에 있으며, 총 9개 벽감璧龛이 있다.
 

출토 옥기류



모든 벽감에는 여성 인골이 있다. 무덤 입구에서 깊이 9.2미터 떨어진 곳에, 무덤 벽 네 주위로 흙으로 쌓은 이층대熟土二层台가 있다.

장구葬具는 덧널 하나에 두 개 관을 쓴 일곽쌍관一椁双棺이다. 관은 내외부 목관으로 구성되며, 전체 관실棺室은 완전히 도난당했다.

그러나 남쪽 목판木板은 파괴되지 않았고, 동쪽과 서쪽 목판은 남쪽이 멀쩡했으며, 남쪽에는 외관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관판棺板은 이미 썩어 재가 되었고 짙은 갈색을 띠고 있다.

서쪽 덧널 중앙 돌출부凸处에는 꼬치串饰, 나무틀木架 등의 흔적이 보이는데, 관틀棺架과 박종가镈钟架 흔적으로 추정한다.

동쪽 판 가운데에도 꼬챙이串饰와 나무틀 흔적이 남아 있어 관가棺架와 편종대编钟架로 추정된다.

북쪽 목판 입면에는 사각 격자무늬 칠판 목판方形网格纹漆木板, 책策 및 일부 거마기车马器가 보인다.

덧널바닥판椁底板은 남북 방향 배치, 그리고 동서 방향 배치까지 합쳐 총 23개다. 부패하여 검은색과 갈색 재로 변했으며 도난당한 구멍은 중간 바닥을 파괴했다.
 

청동기류. 정과 박종



내관은 외관에 바짝 붙어 있고 동서 양쪽 판자만 남아 있다. 관 안은 도굴이 심각해 묘 주인 유골이 보이지 않으며, 장식葬式과 연령은 불분명하다.

무덤 부장품에 청동 병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무덤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M3는 도굴이 심각하지만, 남아 있는 부장품은 여전히 비교적 풍부하다.

각각 덧널 덮개椁盖板 위를 채운 방형 채움 흙方填土, 관과 곽 사이, 덧널실 네 벽, 벽감 및 도굴갱 안 등에서 출토되었으며, 총 173개 세트가 출토되었다.

이 중 96점은 원위치에서 출토되었고, 77개는 흩어진 상태로 출토되었다.

재질에 따라 청동기, 옥석기, 골조개기骨蚌器, 칠목기漆木器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꼬챙이 장식[串饰] 2세트가 있으니 이는 석어石鱼, 동령铜铃, 석추石坠, 나무 구슬[木珠]로 만들었다.

청동기 중 청동 예기는 총 17점으로 솥鼎 3점, 박종镈钟 5점, 뉴종钮钟 9점으로 구성된다.

개중 한 청동 솥 내벽에는 '芮公乍(作)铸宫宝鼎,其万年子(子)孙(孙)永保用高(享)'는 명문이 있다. [이 명문은 보건대 예공이 이 궁궐 보물 솥을 주물해 만드니, 만년 자자손손 영원히 간직하여 누리도록 하라 이 정도 의미다.] 

거마기车马器는 총 66건(세트)으로 마함표马衔镳, 천공동 조각穿孔铜片, 절약节约, 낙식络饰 등이 있다.

상의기丧仪器는 총 23건이 있으니 주요한 것으로는 동삽铜翣, 삽각翣角 및 동배铜环가 있다.
 

M3호 출토 예공정



옥석기玉石器 79점 중 벽감에 순장된 사람의 옥석기, 석규石圭, 권장두权杖头를 제외한 다른 옥석기들은 모두 도굴된 상태로 출토되어 원래의 조합과 위치를 잃었다.

도난이 심했음에도 많은 종류의 옥석기가 출토되었으며, 한 점당 2000여 점이 출토되었다.

의례용기는 석규뿐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장식품이다.

고고학자들은 M3 무덤이 류가와 예국 묘지 중에서는 벽감이 있는 몇 안 되는 무덤 중 하나이며, 동시에 순장자가 있는 유일한 무덤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무덤 형태와 순장인은 예국 무덤에서 매우 독특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희姬씨 성을 가진 주인 무덤에서도 독보적이다.

관은 심하게 도난당했지만 다행히 제자리에 보관된 청동정 2점, 뉴종钮钟 1세트, 박종镈钟镈 1세트가 남아 있으며 무덤의 연대 분석은 주로 이 세 세트 청동기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종합적인 분석에 따르면, M3 연대는 대략 춘추 초중기에서 춘추 중기 초기 단계까지이며, 하한선은 기원전 640년 이전이다.

이전에 고고학자들은 M3 묘주가 M1 또는 M2 부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추가 정리와 연구를 통해 M3 무덤 주인이 M2 무덤 주인의 부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과 M2에서 출토된 금권장두와 M3에서 출토된 박종, 뉴종 위의 반리문蟠螭文과 룽현 변가장 M5에서 나온 청동기문靑銅器文과 옥선玉線이 촘촘하게 배열된 진식秦式 스타일의 유물이 많다는 점, M2에서 출토된 금권장두金權杖頭와 M3에서 출토됐다.

추가 분류 및 연구를 통해 M3 무덤 주인은 M2 무덤 주인공의 부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인다.

첫째, M3의 위치가 M2에 더 가깝다다.

둘째, 두 무덤 연대가 더 가깝다. 두 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기 모양과 장식적 특징으로 판단할 때, 두 무덤 연대는 대략 춘추 시대 초중기에서 춘추 시대 초중기로 추정된다.

셋째, 두 무덤 모두 진나라 스타일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예를 들어 M2에서 출토된 금제 홀 머리[金权杖头]와 M3에서 출토된 박종镈钟 및 뉴종钮钟의 꼬인 용 무늬[蟠螭文]는 농현陇县 변가장边家庄 M5의 청동 무늬와 양식이 유사하며, M3에서 출토된 많은 옥기의 용 무늬도 사각형 선과 빽빽하게 배열된 진나라 스타일 옥 특징을 지닌다.

유가와 유적 동I구 묘지는 춘추 초중기에 예국군을 포함한 한 귀족 묘지로 초기 판정되었다.

M3는 무덤 등급이 가장 높은 두 개 '中'자형 대묘 M1과 M2 사이에 위치하며, 묘도墓道는 없지만 유가와 예국 무묘도 무덤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형태가 가장 높은 사람이다.

동시에, 무덤에서 청동 병기가 나오지 않는 특징으로 볼 때, 무덤 주인은 여성으로 보인다.

M3에서 출토된 옥기의 문양 스타일은 주식周式과 진식秦式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형적인 순수 주나라식 옥기는 옥잠玉蚕, 옥선玉蝉, 옥봉조玉凤鸟 등이 있으며, 진나라식 옥기는 주로 문양 스타일에 반영된다.

옥항패 장식玉项牌饰의 조형은 전형적인 주나라식 특징이며, 그 위의 용문은 두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있고, 선이 가늘고 굽은 네모난 형태로, 진나라식 문양 스타일이다.

비교적 많은 작은 옥기에는 문양이 대부분 진나라 스타일이다. 때때로 옥결玉玦와 같은 동일한 옥기에 두 가지 문양 스타일이 모두 있다.

게다가 M3 묘실 네 벽에는 9개 벽감과 순인殉人이 있는데, 이러한 무덤 모양과 장속葬俗은 춘추 초중기 진 문화 무덤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98년에 발굴된 원정산圆顶山 M1의 3명 순인이 모두 벽감에 놓여 있고, M2의 7명 순인도 마찬가지다.

봉상팔기둔凤翔八旗屯 묘의 순인도 감실에 있으며, 감곡모가평甘谷毛家坪 춘추시대 진나라묘 M2059 네 벽에도 벽감과 순인이 있다.

고고학자들은 순인殉人이 전국 중기 이전 진나라의 고급 귀족 묘지 장례 풍습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수도를 역양栎阳으로 옮긴 후 진 헌공献公의 "순장을 멈추라[止从死]"는 정령은 인순人殉 제도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본다. 

또한 문헌 기록에 따르면, 예국은 춘추 초기 후기부터 멸망하기 전까지 진나라에서 큰 영향을 받았고 그만큼 두 나라는 관계가 밀접했다.

《사기·진본기》에는 기원전 677년과 전 663년에 예백芮伯이 두 차례 진나라를 방문했다고 한다.

종합해 보면, M3라는 예국 국군의 부인은 진나라 출신일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희姬씨인 주인과 승赢씨인 진인의 문화를 한 묘지에 융합할 수 있다.


앞서 간단한 소식을 전했으니 아래가 그것이다.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芮의 군주 부인 무덤 발굴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芮의 군주 부인 무덤 발굴

최근 중국 섬서성 고고연구원이 섬서성 징성澄城 유가와刘家洼 소재 예국芮国 유적 동Ⅰ구[东Ⅰ区] M3 무덤에 대한 조사 성과를 발표했다. (중국고고학에서 쓰는 약어 M은 mound, 곧 무덤이라 이걸

historylibrary.net



나아가 제 예국 도성 유적 전체도 정리했으니 다음이 그것이다.


섬서성 유가와刘家洼 유적, 초기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국芮國의 마지막 도읍

섬서성 유가와刘家洼 유적, 초기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국芮國의 마지막 도읍

이 발굴은 2018년도 전국 10대 고고 신발굴 중 하나로 꼽힌 현장이라, 마침 저에서 비롯하는 후속 발굴 성과가 공개되었으니 그 배경이 되는 이 유적 전반을 알아둘 필요가 있어 당시 발굴성과를

historylibrary.net



나아가 저 무덤 대표 유물이라 할 예공정芮公鼎과 그 명문도 따로 소개했으니 다음이다.


예공정芮公鼎과 그 명문

예공정芮公鼎과 그 명문

섬서陝西 징성현澄城縣 유가와劉家洼 예국 유적芮國遺址 동구東區M3 출토 청동정鼎과 그 금문金文 명문 탁본이다.저에다가 중국고고학은 예공정芮公鼎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니 개요는 다음과

historylibrary.net



나아가 자동번역 기대어 영문화도 해 보았다.

Archaeologists discover 2,600-year-old tomb of Chinese vassal monarch's wife

Archaeologists discover 2,600-year-old tomb of Chinese vassal monarch's wife

The Shaanxi Provincial Institute of Archaeology released the latest archaeological findings from the Liujiawa Rui State site on September 4. Archaeological experts have preliminarily identified a tomb in the East Zone I cemetery as belonging to the wife of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