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루살렘 고고학자들이 이집트의 베레니케Berenice 2세 왕비와 "왕비의"라는 글자를 새긴 2,270년 된 소형 금화를 발견했다. 이는 베레니케 2세가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군주였음을 시사한다.
이 금화는 그녀의 남편이자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국Ptolemaic Kingdom 세 번째 통치자였던 베레니케 2세의 통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더 대왕의 장군 중 한 명인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Ptolemy I Soter가 이집트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23년경에서 30년경)에 세운 마케도니아 왕조다.
예루살렘에서 이 동전을 발견한 이스라엘 유물청Israel Antiquities Authority (IAA)에 따르면, 이 동전은 2,270년 전 알렉산드리아에서 주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동전은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시리아 셀레우코스 제국Seleucid Empire 사이에 벌어진 제3차 시리아 전쟁 Third Syrian Wa r(기원전 246년~241년)에서 돌아온 병사들에게 선물로 전달된 동전 컬렉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다.
IAA 화폐학 책임자인 로버트 쿨Robert Kool은 이번 발견을 설명하는 영상에서 "정말 멋진 동전"이라고 말했다.
"지난 100년 동안 이 동전은 17개만 발견되었습니다."
이들 동전에서도 이번 동전은 이집트 밖에서 조직적인 발굴을 통해 발견된 최초의 동전이다.
이 동전은 동예루살렘East Jerusalem 고대 정착지 중심지로 여겨지는 다윗의 성City of David에서 발굴되었다.
2년 동안 기바티 주차장Givati Parking Lot이라고 일컫는 유적을 발굴하는 리브카 랭글러Rivka Langler는 흙을 체질하던 중 이 동전을 발견했다.
랭글러는 성명을 통해 "발굴 흙을 체질하던 중 갑자기 반짝이는 무언가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제가 본 것이 믿기지 않았지만, 몇 초 만에 발굴 현장을 신나게 뛰어다녔습니다."
동전 한 면에는 티아라tiara, 베일veil, 목걸이를 착용한 베레니케 2세 왕비 초상화가 있다.
풍요의 뿔cornucopia과 두 개 별을 그린 반대면에는 고대 그리스어 "바실레이세스Basileisses"라는 비문이 있는데, 이는 "왕비의"라는 뜻이다.
베레니케 2세는 기원전 246년에서 221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프톨레마이오스 3세의 배우자였다.
하지만 이 성명에 따르면, 동전에 새긴 비문을 보면 베레니케가 독자적인 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그녀는 오늘날 리비아 동부에 위치한 키리냐카Kirinyaka 지역 여왕이었습니다."
쿨은 이렇게 설명했다.
"그녀가 사촌 프톨레마이오스 3세와 결혼하자, 이 지역은 거대하고 매우 중요하며 부유한 헬레니즘 왕국 일부가 되었습니다. 남편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시리아를 침략하자, 그녀는 이집트의 섭정을 맡았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왕비들은 동전에 종종 등장했는데, 그중 유명한 예로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딸인 클레오파트라 7세(간단히 클레오파트라라고 불림)가 있다.
하지만 이번 발견은 여전히 가장 오래된 동전 중 하나로, 베레니케 2세 왕비가 막강한 정치적 권력이나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시사한다고 성명은 전했다.
이 동전이 어떻게 예루살렘에 들어가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곳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기원전 586년이나 587년에 바빌로니아 왕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2세가 예루살렘을 포위 공격했을 때 제1성전First Temple이 파괴된 이후 고대 도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학자들의 지배적인 견해는 [포위 공격 이후] 예루살렘이 작고, 주변적이며, 자원이 부족한 도시였다는 것이었습니다."
발굴을 공동 지휘한 IAA 고고학자 이프타 샬레브Yiftah Shalev는 성명에서 밝혔다.
그러나 샬레브는 "예루살렘은 페르시아 시대(기원전 586년~333년)부터 이미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더욱 강해졌다"고 말했다.
"제1성전 파괴 이후 수 세기 동안 예루살렘은 황폐하고 고립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당시 주요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들과 관계를 회복하며 재건 과정에 있는 도시였습니다."
텔아비브 대학교 고고학 교수이자 발굴 책임자인 유발 가돗Yuval Gadot은 영상에서 예루살렘 엘리트들이 이집트 지배 엘리트들과 관계를 공유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서 발견된 금화는 예루살렘이 중요한 도시였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서성 예국芮国 군주 부인 무덤[상보] (0) | 2025.09.08 |
---|---|
예공정芮公鼎과 그 명문 (0) | 2025.09.08 |
섬서성 유가와刘家洼 유적, 초기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국芮國의 마지막 도읍 (0) | 2025.09.07 |
만든 연대 적은 삼국시대 벽돌묘 절강서 발굴 (0) | 2025.09.07 |
원나라 때 백주 양조장 사천성서 발견 (0) | 2025.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