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고전 마야 도시들이 흥망성쇠한 이유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8.
반응형
대규모 고대 마야 유적지인 카라콜Caracol은 벨리즈Belize에 있다. 사진 제공: 더글러스 케넷Douglas Kennett

 
by Shelly Leachman,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


왜 도시로 이주해야 할까? 그리고 왜 떠나야 할까?

오늘날 도시는 경제, 인구, 생활 방식, 대기 질, 그리고 어쩌면 팬데믹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가 감소했다가 늘어났다 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알고 보면, 도시는 항상 그랬다.

세계 최초의 도시들은 시골 사람들, 즉 농부와 농업 종사자들이 만들었다.

그들은 농업 인구였고, 광대한 토지 경제에 의존했으며, 이는 거주지와 농장 사이 시간과 이동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정착지에 흩어져 살도록 유도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도시 생활은 모든 면에서 더 비쌌다.

군중 질병에 더 취약했고, 토지와 자원을 놓고 경쟁이 치열했으며, 체계적인 불평등이 심화해 나갔다.

그럼에도 농부들은 이러한 모순적으로 보이는 비용을 감수하기로 했다.

왜 그럴까?

고대 마야 도시의 도시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UC 산타바바라Santa Barbara 고고학자 더글러스 케넷Douglas Kennett에 따르면, 이 질문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그는 이 고대 도시 중심지의 흥망성쇠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잡하게 얽혀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출처 iStock / Leonid Andronov. 과테말라 티칼Tikal은 고전 마야 문명 주요 유적 중 하나다.


케넷과 여러 기관 공동 연구진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한 연구에서 이러한 복잡성을 탐구하고 구명했다.

이 연구는 인구 생태학 이론을 활용하여 고전 마야 저지대Classic Maya Lowlands 전역의 도시화 동인을 정량화했다.

케넷은 "고전 마야 도시의 부상과 확장은 기후 변화, 집단 간 갈등, 그리고 농업 기반 시설에 대한 자본 투자를 통해 실현된 강력한 규모의 경제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도시화, 체계적 불평등, 그리고 도시 내 후원자-수용자 관계의 공진화coevolution를 촉진했습니다."

그와 연구진은 또한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도시 주변 환경이 악화하고 기후 개선으로 사람들이 더 많은 자유와 자율성을 누릴 수 있는 농촌 지역 거주 환경이 개선되면서 도시 생활의 이점이 더 이상 비용을 상회하지 않게 되었을 때" 도시화가 시작되었다고 결론지었다.

실제로 이 팀의 초기 관심은 고전 마야 도시 쇠퇴에서 기후 변화, 특히 가뭄의 역할에 집중했다.

2012년부터 이 팀은 인구 규모 변화, 갈등, 그리고 농업 기반 시설 투자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를 수집했다.

그러다가 새롭게 확보된 고해상도 기후 데이터를 접하게 되었다.

케넷은 "우리는 또한 이전에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이러한 데이터 세트 간 관계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준 전산 모델링의 주요 발전을 활용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 스트레스, 전쟁, 경제적 요인과 같이 이전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고 별개의 도시화 이론들을 인구 생태학의 개념에 기반한 하나의 역동적인 모델로 통합했다.

또한 이 연구는 토지를 중심으로 한 경제가 분산을 촉진하는 농업 인구가 높은 도시화 비용에도 불구하고 왜 모이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설을 해결한다.

케넷은 "가장 놀라운 것은 기후 조건이 개선되는 상황에서 도시가 버려졌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고전 마야 도시의 쇠퇴가 장기간의 가뭄 때문이라고 오랫동안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훨씬 더 복잡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밝혀졌습니다."

결국, 이 새로운 연구는 인구의 집적과 분산 방식에 대한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원리를 확립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도시 진화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더글러스 케넷Douglas Kennett


More information: Weston C. McCool et al, Modeling the rise and demise of Classic Maya cities: Climate, conflict, and economies of scal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5). DOI: 10.1073/pnas.2512325122 

Journal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rovided by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 


***


뭔가 논지를 이해하기엔 모자라는 아티클이라는 기분을 준다.

다만 기후 조건이 개선될 때 도시가 버려졌다는 주장은 일단 신선해 보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