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from Honam Region in 2017~2019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0. 5. 16.
반응형

 

 

prunus vase (meiping) at Sadng-ri, Gangjin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of Naju (Director Seung-Kyung Lim), along with the National Museum of Naju (Director Eun Hwa-Soo) an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Seo Young-Il, Chairman of the Association), holds a special exhibition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from Honam Region in 2017-2019 from May 12 to July 19 at the Naju Museum.

This exhibition is a place for introducing major cultural properties excavated in Honam in the past three years. 


Honam is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combines North and South Jeolla Provinces. The Naju Institute and Naju Museum are national cultural institutions that specialize in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n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is an association of private corporations that conduct research on cultural properties.

 

This special exhibition, first, introduces "Gandolgeoms", polished stone daggers, Korean Style slim daggers, and iron relics, which show the history of tool development at the prehistoric section.

 

 

 

porcelain tile at Sadng-ri, Gangjin

 

 

 

 

Figurine "Haniwa" at Geumsan-ri, Hampyeong

 

 

 

 

Da bu huang qian  (大布黃千) coins at Jangheung

 

 

 

An iron horse curb was unearthed along with a dagger. Da bu huang qian (大布黃千) was unearthed from the ruins of Pyeonghwa-ri, Jangheung, and Huo Quan (貨泉) was unearthed from the ruins of Haencheon, Heuknam-ri. These are known as ancient Chinese coins made during the period of the Xin dynasty established by Wang Mang (c. 45 BC – 6 October 23 AD). 

 

In particular, Da bu huang qian is a rare relic that tells of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Honam region has been interacting with China. 

 

The section of Goryeo Dynasty introduces beautiful celadons discovered in the waters near Jindo Island as well as ones found from the kiln sites at Gangin, Buan, and Haenam. The Honam region is a central area of celadon production that has led to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eladon.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at Songje-ri, Naju

 

 

 

In addition, the recent findings from the Wolnamsa Temple site at Gangjin and Beophwasa Temple at Wando Island will be revealed. 

 

A small zoo corner decorated with animal related artifacts is also presented.

 

The Joseon Dynasty section is focusing on the excavation of eupseongs, wall-fortresses erected in each town to keep it safe from invasions. 

 

 

 

Bomb Shell at Mujnag-eupseong, Gochang

 

 

 

 

‘2017-2019 호남고고학 성과 특별전’공동개최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국립나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5.12.~7.19.  -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국립나주박물관(관장 은화수), 한국문화유산협회(협회장 서영일)와 함께 <2017-2019 호남고고학 성과전 – 땅속 울림, 역사 풀림, 전시알림> 특별전시를 5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국립나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최근 3년간 호남지역에서 출토된 주요 문화재를 한자리에 모아 소개하는 자리로, 고고학자들이 발굴조사 현장에서 땀방울로 이룬 성과를 관람객들과 공감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오랜 세월에 잊힌 유적과 유물 속 의미를 고고학자와 학예연구사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는 과정을 담았다는 취지로 전시 명칭은 <땅속 울림, 역사 풀림, 전시 알림>이다. 발굴조사 유적을 시간 흐름에 따라 연출하면서 그 속에서 찾아진 독특한 특징을 간추려 소주제로 삼았다.

먼저, ▲ 선사시대 영역에서는 도구 발전사를 보여주는 간돌검, 한국식 동검, 철기유물 등을 소개한다. 보성 우산리 널무덤에서는 동검과 함께 철제 말 재갈이 출토되어 주목받았다. 그리고 장흥 평화리 유적의 대포황천(大布黃千)과 해남 흑천리 마등 유적의 화천(貨泉)은 중국 왕망(王莽)이 세운 신나라의 화폐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포황천은 당시 최고액의 화폐로 중국에서도 출토된 예가 극히 드물어 호남지역이 이른 시기부터 중국과 교류해온 역사적 상황을 알려주는 유물이다. 

▲ 삼국시대 영역에는 영산강을 중심으로 꽃피운 마한문화와 함께 호남지역에 존재했던 백제, 가야 등 다양한 문화를 소개한다. 영암 내동리 쌍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마한의 위상을 인식할 수 있는 주요한 유물이다.나주 송제리 고분은 백제 양식을 받아들인 무덤으로 출토유물인 은제관식(관모장식)과 허리띠 장식을 통해 백제문화 유입 양상을 엿볼 수 있다. 무덤을 실제 크기로 연출하여 생생함을 더했다.

▲ 고려시대 영역에서는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아름다운 청자를 소개한다. 호남지역은 청자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주도한 청자 생산의 중심 고장이다. 강진, 부안, 해남의 가마터에서 발굴된 청자와 함께 진도 명량대첩 해역에서 출수된 청자를 소개한다. 아울러 진각국사 혜심이 머문 절인 강진 월남사지와 장보고의 흔적이 남아있는 완도 법화사지는 오랜 기간 발굴조사를 통해 그 위상을 보여준다.

또한, 동물과 관련된 유물을 선정하여 꾸민 작은 동물원도 선보인다. 옛사람은 이로움과 두려움의 존재였던 동물을 그릇이나 물건에 새기거나 형체로 만들어 자신들의 바람을 담거나 벽사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동물의 종류는 수중, 지상, 천상, 상상 속을 넘나드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유물 속에 숨겨진 작은 매력과 의미를 찾아내는 색다른 재미를 경험할 수 있다.

▲ 조선시대 영역에는 지방 고을의 중심공간인 읍치(邑治)의 발굴성과를 소개한다. 나주읍성은 일제강점기에 대부분 해체되어 사라졌지만, 꾸준히 이어져 온 발굴조사와 나주 시민들의 노력으로 옛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 또한, 나주읍성의 객사인 금성관은 최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제2037로 나주 금성관)로 지정되어 그 의미가 새롭다. 그리고 고창 무장읍성에서는 조선시대 후기 지방지도에 표시된 훈련청과 군기고가 확인되었다. 조사과정에서 출토된 당시의 시한폭탄 격인 11점의 비격진천뢰와 관련 영상으로 이번 전시의 대미를 장식한다. 
* 읍치(邑治): 조선 시대 지방 고을의 중심 공간
  
한편,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자 전시에 오는 관람객들은 1시간당 50명, 마스크 착용 의무, 열화상 카메라 발열 확인과 개인정보 동의서 작성 후 입장할 수 있다. 관람 시에는 자체해설과 인솔해설을 하지 않으며, 안전거리(2m) 유지, 한 방향 관람하기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관람객들이 땅속에서 울려 퍼지는 작은 실마리를 찾아 역사의 실체에 접근하는 고고학자와 이들의 고민을 전하며 관람객들에게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아울러 우리 지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역사의 한 조각이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고고학자의 노고를 기억해 주시기를 기대해 본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국립나주박물관과 지금까지 모두 3번의 특별전을 함께 개최했다. 두 기관은 협업을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깊이 있는 조사연구 결과물을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활용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