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Sarangchae 사랑채

by taeshik.kim 2023. 5. 10.
반응형

The sarangchae functioned as an auxiliary space to family life as it celebrated its most important moments in the anchae 안채.




The term denotes an everyday living- and work room usually set aside for male labor and also hosting.

The sarangchae was a space for breeding animal stock, storing crops, and keeping farm implements in the winter, farmers would use the room as a workplace, making straw ropes and bags and weaving and plaiting weaving mats.

Sarangchae and dwigan, another kind of agricultural store-
room, often housed stabling for livestock in the middle of the space.





안채의 가정생활을 보조하는 기능을 지니는 사랑채는 사랑방을 중심으로 한 바깥 주인의 일상 거처이다.

사랑채는 가축사육 곡식보관 농사연장보관 등의 역할을 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새끼 꼬기, 가마니치기, 자리 짜기, 명석 엮기 등 수공예품의 간단한 작업장이기도 하다.

사랑채는 외양간을 사이에 두고 뒷간 잿간 방이 있다.

여물을 삶을 때 생기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방이 딸리는 경우가 많다.


***


서대문로터리 농협중앙회 부설 농업박물관 사랑채 국영문 안내판인데 전체 맥락은 대체로 동의하나 저와 같이 일률로 규정할 수는 없다.

사랑채는 매우 유동적이라 첫째 철저히 남성 중심 공간이며 그 위치는 대문 안쪽에 위치하며 공용 기능이 짙고 또 작업장 성격이 아주 강하다.

다른 건물채, 특히 마굿간 운위하는 따위는 너무나 유동성이 많아 저와 같이 설명할 수는 없다.

더구나 사랑채라 할 만한 별도 공간을 갖춘 데는 동네에서 한두 집에 불과했다.

사랑채가 집안을 박차고 공용공간으로 독립한 후신이 바로 마을회관이다.

사랑채가 마을회관이 됨으로써 남성 독점공간은 비로소 성평등이 이뤄졌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