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르트세이Surtsey 섬 위치]
Bing 지도
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3D 이미지를 봅니다.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
www.bing.com
조류를 매개로 한 식물 군집화는 식물 전파의 오랜 가정을 뒤집는다
by Natural Science Institute of Iceland
1963년 북대서양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쉬르트세이Surtsey는 과학자들에게 새롭고 황량한 땅에서 생명이 어떻게 자리를 잡는지 관찰할 수 있는 일생일대의 기회를 제공했다.
수십 년 동안 생태학자들은 식물이 외딴 고립된 지역에 도달하는 능력은 주로 장거리 확산을 위한 특별한 적응에 달려 있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새들을 유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육질 과일은 새들이 그 과일을 먹고 나중에 씨앗을 퍼뜨려 새로운 지역을 개척하는 데 결정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Ecology Letters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는 이러한 오랜 견해에 이의를 제기한다.
아이슬란드, 헝가리, 스페인 연구진은 1965년 이후 쉬르트세이 섬에 서식한 78종 관속식물 대부분이 장거리 확산과 관련된 전통적 특성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신 갈매기, 거위, 그리고 물떼새들이 씨앗을 섬으로 가져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즉, 씨앗을 장이나 배설물에 담아 섬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새들은 다양한 식물 종을 이동시켜 쉬르트지 제도의 발전하는 생태계의 기초를 마련했다.
"새는 쉬르트세이 섬의 진정한 개척자였습니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그곳에 도달할 수 없는 식물의 씨앗을 운반했기 때문입니다."
이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아이슬란드 자연과학연구소 파벨 와소비츠Pawel Wasowicz 박사는 말한다.
"이번 결과는 식물 군집화plant colonization에 대한 기존의 가정을 뒤집으며, 생명이 어떻게 확산되고 환경 변화에 반응하는지 이해하려면 식물과 동물 간 상호작용을 살펴봐야 함을 보여줍니다. 생명은 고립되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따라갑니다."

이 연구를 공동으로 이끈 도냐나 생물권 연구소Estación Biológica de Doñana (CSIC, 스페인) 앤디 그린Andy Green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생태학과 보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동물, 특히 새는 식물 확산과 군집화의 핵심 동인이다. 온난화로 이동 경로가 변화함에 따라 새는 식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이동하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과학자들이 생태계가 어떻게 생성되고, 진화하고, 환경 변화에 반응하는지 등 생명의 근본적인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자연 실험실로서 쉬르트세이 섬의 탁월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단순히 종자 특성이나 분류학적 분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새로운 생태학적 모델이 필요하다.
"쉬르트세이 섬에서 수행된 것과 같은 장기적인 연구는 생물학에 매우 귀중하다"고 와소비츠 박사는 말한다.
"이 연구는 그렇지 않으면 눈에 보이지 않을 생태적 과정, 즉 생명체가 어떻게 식민지화하고, 진화하고, 적응하는지를 직접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러한 연구는 급변하는 세상에서 생태계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More information: Pawel Wasowicz et al, Putative 'Dispersal Adaptations' Do Not Explain the Colonisation of a Volcanic Island by Vascular Plants, but Birds Can, Ecology Letters (2025). DOI: 10.1111/ele.70234
Journal information: Ecology Letters
Provided by Natural Science Institute of Iceland
***
논술 전개가 좀 요상하지 않나 한다. 먼 곳으로 씨앗이 퍼지는 주된 경로가 새가 먹은 배설물에 의한 것임은 상식 아닌가 싶은데, 새로운 연구는 그런 가정을 뒤집는다 하고선 결론은 역시 새 배설물?
내가 잘못 이해했거나 저자 논리 전개에 뭔가 꼬이지 않았나 한다.
암튼 새가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만큼은 변함이 없다.
이 문제는 식물의 전파와 관련해 고고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고고학에서 이 문제가 심각히 논급되는 일을 보지 못해 안타깝다.
예컨대 제주도나 울릉도에 들어간 뭍 식물 전파와 관련해 이런 고민이 있어야지 않겠는가?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가 기름 내뿜는 올리브 오일 공장 발견 (0) | 2025.10.18 |
---|---|
한꺼번에 3개 소형거울 제작하는 거푸집 규슈서 출토 (0) | 2025.10.18 |
헝가리 도시 지하에서 사라진 로마 제국 변경 도시가 드러나다 (0) | 2025.10.18 |
바이에른 고대 로마도로 변에서 대형 원형 투물루스tumulus 흔적 발견 (0) | 2025.10.18 |
중경 반석성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흙벽 흔적 (2) | 2025.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