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생충28

저장용기로 둔갑한 로마 똥통, 편충알 그득그득 2022년 고대 기생충과 관련해서 흥미로운 발표가 있었으니,정리하면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출토한 어떤 항아리 내부에서 딱딱한 물질이 붙어 있어 그 내용물을 검사했더니, 편충알이 나와 이것이 똥통으로 기능했음을 밝혀냈다는 내용이다. 높이 30cm, 너비 33cm 크기인 이 이동식 변기는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가 이끄는 전문가들이 시칠리아 소재 제라체 빌라 Villa of Gerace 목욕탕 유적에서 발견해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이 변기에 직접 앉아 배변했거나, 특별히 고안된 목재 또는 등나무 세공 의자 아래에다 이 변기를 두고 사용했을 것으로 본다. 요컨대 이 항아리는 .. 2025. 4. 15.
[마왕퇴와 그 이웃-46] 미라는 보존해야 하는가 매장해야 하는가 (3) 앞에서 미라 보존과 매장의 문제, 그리고 또 다른 분량은 미라가 단순히 흥미와 호기심의 영역을 넘어 명실상부 한 과학적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결국 미라 안에 아직도 잔존한 과학 정보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윤리적인 문제만 해결된다면 조사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증명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다. 여기서는 과연 어떤 "의학적 정보"가 미라 연구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인지 그 이야기를 하나 예를 들어 써보겠다. 때는 지금부터 13년 전. 2006년 4월. 지금은 국립청주박물관장으로 근무 중인 이양수 박사에게서 급한 연락을 받았다. 당시 이양수 선생은 김해박물관에서 근무 중이었는데 현지 발굴 중 조선시대 미라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각설하고, 이 무덤에서 발견된 피장자-미.. 2025. 3. 9.
배밀이, 기생충 민족이 개발한 배앓이 응급책 서울 강서구립 허준박물관이 그 허준박 굿즈 2탄이라 해서 내놓은 박물관 문화상품이라고 그 관장 김충배가 자랑하거니와저게 뭐냐?청화백자 배밀이이라는 것이라 저를 김 관장은 이쁜 장식도 되고 실용적으로도 만점이라 삐끼질이다.전자렌지 1분 30초~2분 데우면 따끈함이 십분 유지된다 하거니와저걸로 배를 따습게 했다.저 배밀이가 곧 배앓이 감소용이고 또 흔히 하는 말로 엄마손 약손하는 바로 그 약손이다.꼭 기생충 문제는 아니지만 기생충약이 본격 도입확산하기 전엔 배앓이가 그리 많았고기생충을 많이 극복한 요즘에도 배앓이로 고생하는 분이 적지 않다.자고로 배는 따듯해야 한다 해서 저 변형, 혹은 그 개량품이라 할 만한 상품들이 있거니와, 특히 여성들이 애용한다. 기생충 문제는 이쪽 분야 전문가인 신동훈 선생이 아주 .. 2024. 12. 3.
태국 똥이 폭로한 공룡 기생충 미라 연구를 개척한 일등 공신은 이집트 미라지만, 그 명성과 달리 실상 그 미라가 알려주는 정보는 많지 않다. 무엇보다 이집트 미라는 내장과 골수를 다 발라내서 만든 건어물이라 남은 건 피부 껍데기요 뼈다귀밖에 없으니, 고작 밝혀낸 정보라는 것도 보면 피부병이라든가 뼈다귀 상태를 보고는 관절염을 알았네 한 대 맞고 한 방에 갔네 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그에 견주어 조선시대 미라는 그 정보가 풍부하기 짝이 없어 신체발부수지부모라는 강한 훈령이 시신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손끝 하나 털끝 하나 건드리지 않고 고이 모셨으니, 그에서 밝혀내는 고인류학 정보가 얼마나 무궁무진하겠으며, 실제 이걸로 내 외우 신동훈 선생은 세계적 학자 반열에 우뚝 섰다. 과거 인류 혹은 생물이 남긴 흔적으로 똥만한 보물 없다. 소.. 2023. 8. 10.
심상치 않았던 오늘의 기생충 4년전 오늘이라 페이스북 입문 이래 과거의 오늘이라 해서 해당 날짜 과거에 내 흔적을 훑어보면 그에 남은 내 과거 행적이 가끔씩 드러나는데 저 무렵은 내가 문화부장 재직시절이고 또 칸영화제가 막바지로 치닫던 무렵이라 저때는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그 그랑프리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가 아닌가가 초미하는 관심이었으니 그 결론은 수상이었음을 우리는 기억한다. 이 영화제는 우리 공장이 근 이십년래 꼬박꼬박 취재기자를 현지에 파견했으니 이때도 우리는 당시 영화 담당 이도연 기자를 보내고선 그에서 일어나는 일을 따박따박 주시하던 중이었다. 기자로서는 처음 현장 경험하는 칸영화제였으니 아마도 흥분하고 조금은 우왕좌왕할 때가 아니었나 싶기는 한데 그 발표를 앞두고 주최 측에서 기생충 관련자들은 전원 시상식장에 모이라는 출.. 2023. 5. 25.
부여 회고, 강을 낀 낮은 땅을 선호한 백제 부여는 필자가 고기생충 연구 때문에 자주 내려갔던 동네다. 여기서 얻은 결과는 학술지에도 여러 편 출판되었다. 부여 발굴 현장을 본 감회를 약간 써 보면, 부여는 백제시대 물난리가 상당히 자주 있었던 동네 같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기생충란이 화장실 터 뿐아니라 거주지 주변에서도 꽤 많이 나오는 장면이 있었는데 사실 이러한 징후는 물난리가 많은 도성지역에서 흔한 현상이다. 예를 들면 조선시대 한양도성이 딱 그렇다. 허구 많은 데 다 놔두고 왜 하필 저렇게 홍수가 많은 지역에 도읍을 정했는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풍납토성도 그런 데라 사비성만 탓할 일은 아니라 하겠다. 백제가 망했을 때 일본에 있던 부여 풍이 귀국하여 풍왕으로 즉위하여 주류성에 머물렀는데 너무 외지고 험준한 곳에 있는 탓에 반대를.. 2023.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