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원형4

샤인머스킷과 멜론 오른 차례상 보며 반추하는 원형 vs. 전형 이번에 우리 집 추석 차례상에 오른 제수 중에 종래와 다른 대목 두 가지 정도가 있으니 하나는 샤인머스켓이요 다른 하나는 멜론이라 이걸 차리며 이건 누구 작품이냐 물으니 집사람 소행이라, 이참에 저 둘을 새로 얹어봤단다. 어른들 살아계실 때면 불호령이 떨어졌을 테지만, 시대가 변하니 제수음식도 변하기 마련이라, 그래 시대가 샤인머스켓과 멜론을 양산하는 시대라, 새로 올려서 안 될 것도 없다. 북어도 본래 우리 집에서는 머리를 반대편으로 놓아야 하지만, 나도 까먹고 저리 놨더니마 엄마가 들어와서 보고는 잘못 놨다며 방향을 바꾼다. 또 제수 진설하는 문제로 얼마나 시끄러운가? 맨 앞줄에다가 과일을 놓고 그 뒤로 또 적을 놓느니 마느니 해서 오죽이나 시끄러운가? 또 그 절차는 얼마나 복잡한지, 내 어릴 적 기.. 2021. 9. 22.
문화재의 출발은 지금! 여기! 문화재는 지금 이곳을 기준선으로 삼아야지 없는 허상을 찾아 과거 어느 시점에 고정한 채 그때의 상상된 모습을 원형이라 설정하여 현재와 미래의 모든 가치를 그에다가 쑤셔박아서는 괴물만 주조할 뿐이다. (2015. 3. 9) *** 문화재 역시 시간의 온축蘊蓄이다. 그런 까닭에 문화재는 무수한 시간의 melting pot이다. 그런 무수한 시간과 그 무수한 시간의 켜켜한 층위가 오늘의 문화재를 구성하는 절대단위다. 그 켜켜한 층위는 그 시대의 증언이다. 오늘 우리 앞에 선 문화재는 그 켜켜한 역사들의 증언집이다. 이 켜켜함은 땜질과도 상통한다. 유무형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생성하며 변화해 오늘에 이른다. 그 변화가 때로는 거추장일 수도 있거니와, 그런 거추장 하나하나가 증언이다. 사람이 태어나 자라면서 무수한.. 2021. 3. 9.
국보 지정은 세한도의 성장을 막았다 세한도에 감상평이 몇개 달렸는지 이자묵었다. 스무개 이상이 덕지덕지 붙었다고 기억하며 위당 정인보 글도 있다고 기억한다. 종래 혹은 작금 문화재관련법에 의거하면 세한도 원형은 과연 무엇인가? 세한도 달랑 종이쪼가리 하나가 원형 아닌가? 그렇다면 뒤에 덕지덕지 붙은 후인들 글은 원형 훼손이니 떼어버려야는 거 아닌가? 하지만 이는 미친 짓이라 할 것이다. 덕지덕지 붙은 글은 세한도가 유전한 역사이며 그것이 시대에 따라 다르게 입은 옷들이며 그것을 소비한 고스라한 증언이요 흔적이다. 그 뭉치 전체가 세한도지 추사가 애초에 그려 제자한테 던져주었다는 종이쪼가리 달랑 한장만이 세한도가 아닌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우리가 이해하는 원형에 대한 근간적이며 발본색원에 가까운 재성찰을 요구함을 알 수 있다. 작금 문화재.. 2021. 3. 8.
세한도에서 생각하는 문화재 ‘원형’ 아래는 《서울아트가이드 Seoul Art Guide》 2018. 04(통권 196호) 48쪽에 실린 기고문이다. 지면 혹은 교정 단계에서 일부 덜어내기나 교정이 있을 수는 있지만, 전체 대의에는 변함이 없다. 이 문제는 내가 더러 말한 적이 있으나, 이 자세는 우리 문화재 현장에서 이 문제가 교정되지 않는 한 언제나 문제삼으려 한다. 세한도에서 생각하는 문화재 ‘원형’ 김태식 연합뉴스 기자 세한도(歲寒圖)는 국보(180호) 지정 명칭이 ‘김정희필 세한도(金正喜筆歲寒圖)’다. 1974년 12월 31일, 국보 고시를 할 적에 저런 명패를 부여했다. 글자 그대로는 김정희가 글을 붙인 세한 그림이라는 뜻이다. 언뜻 그림과 글씨 주체가 다른 듯한 인상을 준다. 다른 사람 그림에다 김정희가 발문(跋文)을 써준 듯하.. 2018.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