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리건판6

유리건판이 품은 1920년 능산리 사지 부여 나성과 능산리 고분군 사이 계곡에 위치한 능산리 사지寺址는 1991년 이후 비로소 발굴조사가 이뤄져 금동대향로와 창왕명 석조사리감이 대표하는 사비백제사를 대표하는 유적으로 우뚝 섰다. 당시 시굴조사를 윤무병 선생이 했는데, 이전에는 논밭이었다. 이런 사정은 식민지시대라 해서 다를 바 없었으니, 첨부 사진이 바로 그것을 말해 준다. 이 유리건판 사진은 1920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라 하는데, 사지를 찍으려 한 것이 아니라 바로 나성 동문을 담기 위한 구도로 포착되었다. 지금의 사지가 어딘지는 단박에 알리라. 계단식 논이 조성된 저곳이 바로 그곳이다. 저 아래 향로와 석조 사리감이 잠자고 있었다. (2017. 6. 8) 2023. 6. 8.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친필(?) 국사편찬위원회에 유리건판으로 남아있는 자료 중 하나다. 거기 붙은 설명은 다음과 같다. "秀才 朱澤民이 見示한 美人 병풍의 시에 대하여 益齋 李齊賢(1287∼1367)이 次韻한 4수." 에서는 이 시를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주택민이라는 이는 에 딱 한 번 등장하는데, 고소姑蘇 사람이고 익재를 위해서 연산효설도燕山曉雪圖를 그려주었다고 한다. 그나저나 익재가 썼다는 글씨를 처음 본다. 1930년대에는 그 유명한 나진옥(羅振玉, 1866~1940)이 갖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디에서 누가 아껴주고 있을는지? 2022. 8. 15.
유리건판을 보다가, 경성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집 가끔은 조선총독부박물관 직원들이 왜 이런 걸 다 찍어놓았을까 하는 자료도 만나게 된다. 이 사진은 경성제국대학 교수, 숙명여전 교장 등을 역임하고 , , 등의 편집을 도맡았던 동양사학자 오다 쇼고(小田省吾, 1871-1953)의 집 현관이다. 눈발 흩날리는 날 찍었는지 지붕이며 길바닥에는 옅게 눈이 쌓여있고, 희끗희끗한 눈송이가 찰칵 소리에 영원히 담겼다. 대문 옆에 뭔가 주렁주렁 매달려있는데, 확대해서 읽어보니 꽤나 흥미롭다. 오른쪽 맨 위부터 보면, 당연히 집주인 오다 쇼고의 이름 넉 자가 붙었다. 그 아래에는 전專 뭐라고 썼는데 잘 안보이고, 그 아래에는 경성중학교삼급(?)京城中學校三級(?) 오다 實(미노루인지 마코토인지)이란 이름이 보이는데, 오다 상의 아들인가 싶다. 왼쪽으로 건너와서 위를 보면.. 2021. 8. 23.
유리건판이 포착한 이왕가박물관, Iwangga Museum captured by the glass plate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이왕가박물관 관련 희귀 사진 16점 온라인 공개 일제에 의해 창경궁 전각에 전시됐던 유물 사진들 / 11.25. 박물관 누리집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일제가 설립·운영한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 관련 유리건판 사진 16점을 11월 25일부터 박물관 누리집(gogung.go.kr, 소장품-소장품 안내-소장품 검색)에서 공개한다. 공개된 사진들은 우리나라 초기 박물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사진 원본파일은 누구든 자유롭게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유리건판: 유리판에 액체 상태의 사진 유제(乳劑)를 펴 바른 후 건조한 것으로, 현대의 흑백사진 필름에 해당. 1871년 영국에서 발명되어 20세기 초반에 많이 사용됨. 이왕가박물관은 일제의 주도하에 제실박물관(帝室.. 2020. 11. 26.
식민지시대 유리건판 고화질 3만8천장 무료공개 개시!!! 일제강점기 유리건판 고화질 사진 3만8천여점 공개송고시간 | 2019-12-11 09:51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서 제공 日本植民地時代のガラス乾板高画質写真3万8千点公開送稿時間| 2019-12-11 09:51国立中央博物館、eミュージアムで提供 Over 38,000 high-quality photographs of glass dry plat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Releas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eMuseum http://www.emuseum.go.kr/storySearch?storySeq=1101 국립중앙박물관 식민지시대 유리건판 사진 3만8천장을 고화질로 무료로 제공한다. 출처만 밝히면 상업이용도 가능하다. 내가 누누이 말했지만, 이건.. 2019. 12. 11.
사진으로 보는 부여 능산리 유적 몇 장면 능산리사지陵山里寺址 사역寺域 발굴상황을 논할 때 항용 인용하는 국립부여박물관 사진이다. 부여박물관이 펴낸 발굴보고서에도 그대로 수록됐다. 이거 합성이다. 능산리사지가 이렇게 한꺼번에 노출된 적은 없다. 하지만 이 장면이 합성이란 사실은 보고서 어디에도 없다. 자칫 역사 조작 논란을 부를 만한 사안이다. 합성임을 밝혔어야 한다. 포샵은 비밀을 폭로한다. 널리 알려진 능산리사지 백제금동대향로 출토 장면이다. 여러가지 방식으로 노출 등을 조정해보니 야간 발굴이었음이 더욱 명백해진다. 후래시를 썼던 것이다. 금동대향로는 한밤중에, 그것도 한겨울에 물이 나는 땅을 맨손으로 헤집고 발굴하고 사진 촬영을 했다. 이 사진은 지금은 세종문화재연구원 실장으로 있는 진성섭이 했으며, 실제 맨손 발굴은 조사연구단장 at 서라.. 2019.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