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나일본부8

임나일본부, 김현구는 경영 주체만 바꾸었다 그와 이덕일이 근자 오르내렸다. 핵심인즉 이덕일에 의하면 김현구는 임나일본부를 인정했다는 것이고 김현구 본인은 안했다는 것이다. 법원까지 가서 이덕일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난 둘 다 맞다고 본다. 이덕일은 분명 김현구를 오독했다. 이 부분이 처벌 대상인지 아닌지는 논외로 친다. 하지만 김현구가 임나일본부를 인정한 것도 맞다. 김현구는 그 주어만 교묘히 바꾸었다. 그 경영 실체를 왜에서 백제로 교체했을 뿐이다. 이덕일의 실패는 이 점을 지적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가야는 아무한테나 주어도 되는 덤이 아니다. 김현구 역사학은 그걸 왜에서 뺏어 백제한테 준 데 지나지 않는다. 가야는 왜에 주어서는 안 되고 백제에 주면 문제없는 물건이 아니다. 김현구 역사학은 식민성이 다대하다. (2016. 3. 14) ***.. 2023. 9. 26.
김현구-이덕일 임나일본부 논쟁이 남긴 것 이 양반 열받았군. 이덕일이랑 한판 붙더니 덤으로 그걸로 단행본 하나 추가했다. 김현구를 유명하게 만든 이는 이덕일임을 그는 알까? 비극은 이에서 비롯한다. 김현구는 이덕일을 만나 비로소 유명해졌다. 하지만 결코 김현구 자신은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더 비극이다. 그 어떤 경우에도 김현구로선 지는 게임이었다. 그가 이기기 위한 방법은 단 하나가 있을 뿐이었다. 그냥 놔뒀어야 했다. 이걸 김현구는 몰랐다. 내 보기엔 김현구는 이덕일이 친 덫에 걸려들었다. 유사역사학이라고 공격하고 나선 소위 강단 주류사학. 당신들은 졌다. 지금은 이긴 듯 우쭐하겠지만 내보기엔 당신들은 또 졌다. 이 말이 지금은 기분 나쁠 테지만, 두고 봐라 내 말이 맞는지 틀리는지는..... 내 말 안 믿데.... 진짜로 안 .. 2023. 9. 26.
한국학계는 싸움을 피하지 마라 한국학계는 중국이나 일본학계와 현안이 있는 것으로 안다. 중국과는 동북공정이, 일본과는 임나일본부 문제가 있고, 이건 한국에서나 해결되었다고 생각하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리고 이 두 주제에 대해서는 한국의 주장이 국제적으로 제대로 먹히는 것도 아니다. 만리장성? 만리장성 동단이 한반도 밖에 있었다고 주장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임나일본부? 왜가 한반도에서 뭐가 되었건 활동하고 있었다고 믿는 나라가 지금도 나라밖에 태반이다. 내 생각은 이렇다. 한국학계는 싸움을 회피하지 마라. 정말 우리 주장이 옳다고 생각하면 나라 안에서 듣기 좋은 소리로 대중에 영합하지 말고, 나라 밖에서 중국, 일본 학자들과 한번 제대로 붙어봐라. 만약 그들이 논의를 회피한다면 걔들 학술지에 우리 주장을 담아 걔들말로라도 논.. 2023. 3. 10.
영산강 유역은 "가야"인가? 앞에 임나사현에 대한 글을 쓰고 백제에 대한 글도 적고, 문외한인 필자가 좀 무리를 했다. 그 까닭은 다음 이야기를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1. 일본에서 볼 때, 가야=임나다. 한국 쪽에서는 가야와 임나를 나누어 보는 시각도 있는 듯한데, 이 둘은 일본에서 보면 같다. 따라서 현재 일본 교과서 등지에서 가야라고 적어 놓은 판도는 과거의 "임나"를 이름만 바꾸어 놓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2. 일본에서는 영산강유역을 "가야"라고 포함한 모습을 자주 본다. 특히 최근 영산강 유역에서 전방후원분이 다수 발견되면서 그런 추세는 더 강화하는 듯하고, 대개 이런 시도를 할 때, 영산강유역에 상다리, 하다리, 모루를 갖다 놓는 일이 많다. 이들 지명은 일본서기에서 "임나사현"으로 나오는 곳이다. 따라서 일본 측에서 영.. 2022. 12. 11.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2) 필자가 이 글을 굳이 "관전법"이라고 쓴 까닭은 필자가 이 분야 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축구에서 관전이라는 말은 직접 뛰는 플레이어가 할 소리는 아니다. 관중석에 앉은 사람이 쓰는 말이다. 필자가 관전의 재미를 위해 나름의 독법을 적는 것이니 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다. 앞서 쓴 글을 이어서 쓴다. 일본의 경우, 최근 교과서를 보면 임나라는 말은 잘 쓰지 않고 가야라고 표기해 놓은 데가 많다. 왜 가야라고 쓰게 되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중요한 점은 위에 표시된 가야 영역이 우리가 알고 있는 가야 영역과 다르다는 사실이다. 서쪽으로 더 길어 전남 지역이 가야에 포함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가야로 표시된 영역은 사실 일본의 전통적인 임나일본부설의 "임나"와 동일하다. 구체.. 2022. 11. 24.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1) 최근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관련 주장을 보면 양측 입장이 미묘하게 다른 부분이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데가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가 아닐까 한다. 먼저 한국 측에서는 대략 전남북 동부지역을 임나사현으로 보는 듯하다. 위 그림은 김태식 교수 (김 단장님 동명이인) 께서 주장하시는 글인데 최근 이 일대에서 가야계 문물이 많이 나와 이 보고를 임나사현과 연결해 이해하기도 아는 것으로 안다. 충분히 근거가 있는 주장이라고 보고, 대개 한국 학자들은 거의 전남북 동부지역을 주목하는 듯하다. 임나사현이란 일본서기에 나오는 기사와 관련된 것으로 계체천황 6년 (512년), 백제의 요청에 의해 왜가 할양했다는 한반도 남부의 4현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최근 교과서에 어떻게 실려 있냐하면, 이렇게 실려있다. 유의해서 보셔야.. 2022. 11. 24.
반응형